이 시도는 더불어민주당 집권기였던 2020년 이뤄질 뻔 했다. 문재인 정부가 야심차게 공공의대 설립 등의 안을 추진했고 전남지역 의대 유치에 힘이 붙었다. 그러나 이 안은 대한의사협회를 비롯한 의료업계의 반대에 부딪히며 무산됐다. 코로나19가 퍼지던 당시 의료진의 도움이 절실했던 정부는 더 이상 추진하지 못했다.
이후 3년만에 전남지역은 의대 신설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정부를 중심으로 여야 모두 의대 정원 확대에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
전남 지역 의대 신설을 위해 이날 삭발식까지 거행한 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정말로 민심을 회복하고 싶다면, 국면 전환을 하고 싶다면, 원하는 것을 해줘야 하지 않겠는가”라면서 “의대 정원 1000명 증원을 꼭 이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자신들의 요구가 전남권에 국한된 게 아니란 점도 전했다. 지역 공동화를 겪고 있는 것은 영남이라고 다를 게 없어서다. 김 의원은 “경상권에도 의대가 하나 더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면서 “창원이나 안동 등에서도 절박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의대 신설을 원하는 지방국립대는 목포대, 순천대, 창원대, 안동대, 공주대 5곳이 된다.
그는 “지방 국립대가 의대 신설을 원하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번째는 독자적인 의료인력 양성 체계를 구축해 지역내 부족한 의료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데 있다”면서 “부수적으로는 여러 일자리가 창출되고 귀농·귀촌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역 의대를 졸업한 의료 인력은 일정 기간 근무해야 한다는 조건을 붙였다. 김 의원은 “기존 대학에 증원된 정원을 배분하는 정도로 그치면 지방의대 졸업생의 수도권 이탈 문제, 지역내 필수 의료 인력 부족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게 된다”고 말했다. 지역 공공의대 설립과 맞물려 지역의사제 등의 제도적 보완이 뒤따르지 않으면 기존 수도권·지방 간 의료 격차가 여전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김 의원은 대승적인 관점에서 의대 정원 확대를 비롯해 공공의대, 지역의사제 등 도입 등에 의료계가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본인들도 지방에 의사가 부족하다는 것을 잘 알지 않는가”라면서 “전남권 의대, 지역의사제에 대해 함께 하고 동행했으면 좋겠다”고 촉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