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최근 중국 증시가 ‘중국판 밸류업 정책’을 발판 삼아 반등을 모색하면서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 12일 10년 만에 ‘신(新)국9조’를 발표했다. 자사주 매입·소각 및 배당 확대, 상장기업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등이 골자다. 중국 정부가 주식 시장 부양을 위해 기업에 대한 투자가치를 제고하고자 마련했다.
특히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 특성상 정책이 강제성을 띠며 효과도 두드러지고 있다. 일례로 상하이·선전 거래소는 수년간 배당을 하지 않았거나 배당성향이 낮은 기업들은 2025년부터 관리종목으로 지정하는 등 패널티를 부여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해종합지수는 이달 들어 2.36% 올랐고, 홍콩의 항셍 지수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같은 기간 항셍 지수는 7.28% 상승했다.
중학 개미들은 지난해부터 감지된 중국의 부동산 위기와 경기 둔화 우려에 중국 시장에서 발을 빼왔지만, 올해 들어서면서 투심이 조금씩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국내 개인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중국 주식은 총 8억8307만 달러(약 1조 2212억원)였지만, 이달 들어 9억7407만 달러(약 1조 3471억원)로 늘었다.
또한, 중국 대표 가전기업 격력전기는 지난 28일부터 한화 약 5700억원 규모의 가전 교체 보조금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정정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와 기업 주도의 중국의 소비 환경이 조성되는 중이다”며 “가계 소비 여력 확보에 따른 하반기 중국 내수경기 회복 가속화 기대를 높일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