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기후위기에 대응해 탄소중립(탄소 순배출량 0)을 달성하자는 2016년 파리협약에 따라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또 2021년 과도기적인 목표로 2018년 연 7억여 톤(t)에 이르던 국내 탄소배출량을 2030년까지 40% 줄어든 4억여t까지 줄인다는 2030 NDC를 추진하고 있다. 내년엔 이를 2035 NDC로 갱신한다.
산업계, 특히 철강업계에는 큰 부담이다. 철강은 우리 삶에 없어선 안될 필수재이지만, 철광석을 고온에 녹여 철강재를 만드는 철강산업은 그 산업 특성상 모든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량이 많다. 2018년 기준 탄소 배출량이 약 1억t으로 전체 탄소배출량의 14%에 이른다. 산업 부문 기준으로는 무려 38%다.
한국철강협회와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등 업계 관계자는 이날 정책협의회에서도 관련 기술개발·설비투자에 대한 더 전폭적인 지원을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당장 유럽연합(EU)이 올해 시행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응한 공인된 제품 제조 전 과정의 탄소 배출량 산정과 이를 감축하기 위한 노력을 뒷받침할 체계 마련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날 행사를 공동 주재한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이 같은 철강업계의 요청에 저탄소 연료·원료 대체 같은 단기 대책과 수소환원제철 도입 같은 장기 대책으로 나누어 정부 지원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혁신 탄소중립 기술은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세제 지원 확대를 추진한다는 계획도 공유했다.
이 실장은 “정부는 이 같은 지원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철강·알루미늄 업계의 탄소 감축 노력과 투자 활성화를 뒷받침할 것”이라며 “업계도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이날 협의회를 시작으로 올 11월까지 11개 업종별 협의회를 열어 탄소중립 달성에 필요한 정책 지원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당장 9월 중에 반도체·디스플레이·가전 업종과 석유화학·정유 업종 협의회를 차례로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