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상반기까지 완료한다는 목표로 이르면 상반기 중 ‘의료 쇼핑’이 원천 차단될 전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비 완료 시 어려움 없이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며 “기존 가입자에게도 개편한 비급여 기준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최근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과잉 진료’의 보험금 지급 기준을 정비하겠다 밝힌 데 따른 후속조치다.
정 원장은 지난 16일 손해보험사 최고경영자(CEO)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비급여 과잉의료 항목의 보험금 지급 기준을 정비해 실손보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지급 기준을 손봐야 팔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현 실손보험 구조를 개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선 금감원은 각 비급여 항목에 해당하는 전문 의료학회가 정한 치료 지침을 차용키로 했다.
예컨대 백내장의 경우 수정체가 혼탁해져 질환이 발생해야 수술할 수 있지만 그런 경우가 아니더라도 교정목적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교정목적의 치료도 보험금을 청구하고 보험사는 이를 내주기 일쑤다.
하지만 안과학회가 마련한 백내장 치료지침을 기준으로 하면 앞으로 이같은 형태의 의료 쇼핑은 불가능해진다. 지침에 따르면 수정체 혼탁여부에 대한 사진촬영 등 사전검사를 해야 한다. 금감원은 실손보험 가입자가 이 사전 검사 결과를 보험사에 제출하도록 할 방침이다. 사전 검사 결과 수정체에 문제가 없을 경우 비급여 항목상 보험금은 받을 수 없게 되는 셈이다.
법원 판결과 금감원 분조위 결정도 금감원은 들여다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법원이나 분조위에선 수술 필요성 등을 판단해 가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들 결정을 보험금 지급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과거 판례나 결정사례를 수집해 참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금감원이 정비 작업에 직접 나선 것은 실손보험 비급여 항목의 보험금이나 진료량 등 정부가 정해놓은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건강보험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각종 기준을 정해놨지만, 실손보험은 가입자가 3900만명에 달하는데도 비급여 항목 세부 기준이 없다. 보건복지부에서 통제하고 있는 것은 병원들이 실손보험 비급여 항목에 해당하는 의료비를 공시하도록 한 부분이 전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실손보험 비급여 항목은 청구하는 대로 보험금이 나가고 있다. 몇몇 보험사가 개별적으로 기준을 마련해 놨으나 공정성·객관성 시비로 민원만 늘고 있다. 무엇보다 금감원 관계자는 “소수의 ‘의료 쇼핑’으로 실손보험 대다수 가입자는 보험료만 인상되고 의료 혜택은 보지 못하고 있다”며 구조 개선 필요성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