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는 동전의 양면처럼 보험사들의 활용 여부에 따라 위기 또는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위기관리에 소홀할 경우 보험 산업 전체를 뒤흔드는 큰 재앙이 될 수 있어 우려된다.
|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저출산에 따른 고령화의 가속화다. 1997년의 4.51명이었던 출산율은 2010년 1.22명까지 떨어졌다. 저출산 현상이 더 길어진다면 노인들을 부양해야 하는 젊은 층의 부담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고령화가 심해져 국민의 장수위험에 대한 인식이 강해질수록 보험산업에 기회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저축 등을 통한 개별적인 대응에는 한계가 있어 이를 관리해주는 조력자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보험산업은 자체가 위험 관리 산업인데다 가입자별 생애주기나 소득수준, 수요 등에 따라 맞춤형 혜택의 제공이 가능해 조력자로서 안성맞춤이다. 보험사들은 종신연금보험이나 노후의료비보장보험 등으로 장수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더 큰 잠재적인 위험요소가 도사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보험료와 보험금 간 불균형에 따른 ‘유동성의 불일치’가 바로 그것. 쉽게 말하면 젊은 층에게 거둬들이는 보험료는 줄어들고 고령층에게 내주는 보험금은 많아져 결국 보험사 입장에선 손실만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손성동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실장은 “모든 위험을 보험사가 떠안기보다 자본시장과 공조를 통해 위험을 나눌 필요가 있다”며 “장수 위험을 해지할 수 있는 파생상품을 개발해 자본시장에서 유통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기획①]"보험산업, 사회안전망 역할 강화해야"
☞ [기획②]보험산업에 밀려오는 역마진 공포
☞ [기획③]초고령화, 보험산업에 위기? 기회?
☞ [기획④]만연한 보험사고..국민 의식 전환 ‘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