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인사 과정을 봐도 이같은 문제점은 그대로 드러난다.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전문성을 갖춘 관료 가운데 낙점됐기 때문에 뒷말은 있었을 지라도 가십 수준에 그쳐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서강대 동기동창 홍기택 중앙대 교수가 KDB금융지주 회장 겸 산업은행장으로 낙점되면서 MB정부 초기의 ‘낙하산 인사 논란’이 재현됐다.
‘다이렉트 뱅킹’으로 상징되는 강만수 전 회장의 ‘산업은행 민영화’ 방안은 잠정 보류됐고 정책금융기관 기능 회복이 산은의 첫번째 과제로 부상중이다. 정책금융 기능을 강화하기위해 KDB지주 회장 자리에는 국정철학을 공유할 수 있는 인물이 나와야 한다는 논리다. 홍 회장의 전문성에 대한 비판은 산업은행장 겸임 관행을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로 이어지기도 했다.
그러다보니 정말 필요한 금융공기업 인사는 뒷전으로 밀려나는 상황이다. 현오석 경제 부총리가 직접 나서서 올해 2%대 초반의 저성장이 걱정된다며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는 상황을 감안하면 이해하기 힘든 구석이 있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주택금융공사, 자산관리공사,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굵직한 금융기관장 자리는 곧바로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들에게 자금을 공급할 수 있는 정책 루트다. ‘일괄사표 선별수리’와 같은 방안으로 이들 기관장 가운데 재신임을 할 사람은 하고 새로 임명할 사람은 ‘코드’에 맞춰 인사를 해야 한다. 그럼에도 이들 기관의 인사는 후순위로 뒤쳐지는 분위기다.
과연 이같은 현상은 왜 발생한 것일까. ‘기관장 연봉’ 수준에 맞춰 인사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있다고 보면 지나친 확대해석일까.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초기 효율성이 떨어지는 금융공기업을 비롯한 공기업이 하는 일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연봉을 받고 있다며 기관장들의 각종 판공비를 모두 없애고 연봉을 ‘반토막’냈다. 그러다보니 노동조합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고참 부장 연봉이 임원보다도 많은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메카뱅크도 좋고 금융공기업 민영화도 좋다. 하지만 서민이 행복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려면 정책자금 집행 기능을 갖고 있는 금융 공기업이 움직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필요하다면 이들 기관장 자리의 연봉을 높여서라도 비중있는 인물이 나서는 분위기부터 만들어야 한다. 메가뱅크는 그 다음 순위로 검토해도 늦지 않다.빠를 수록 좋은 일이 있고, 돌다리도 두들겨 확인해야 할 있다. 메카뱅크, 우리금융 민영화는 후세를 생각해 몇번이든 두드리고 모든 방면에서 문제점을 검토해야 할 사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