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경색에서 비롯된 기업들의 극심한 자금난과 부동산PF 부실은 한국경제의 뇌관으로 떠오른 지 오래다. 한국은행이 엊그제 발표한 국내외 전문가 대상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서도 이같은 사실은 여실히 드러난다.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과 경제전문가 72명 중 58.3%가 1년 내 금융시스템 위기가 닥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 이번 조사에서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흑자도산 가능성을 첫번째 원인으로 꼽았다. 실제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신용경색으로 기업어음(CP)금리는 한달 반 넘게 최고치 기록을 경신 중이며 멀쩡한 기업들까지 자금조달에 애를 먹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정부의 이번 대책은 시의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을 만하다. 하지만 적기에 제대로 실천해야 금융 시장과 실물 부문의 불안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전반적인 긴축기조 속에서 유동성을 늘려야 하는 딜레마에 빠진 만큼 더욱 정교한 정책 조합이 필요하다. 한발 늦은 대응으로 시장 혼란을 자초했던 레고랜드발 자금 경색의 우를 범하지 않도록 금융회사들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잠재 리스크를 선제 파악하고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경각심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