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공무원보수위원회에 따르면 위원회는 이날 오후 최종 회의를 통해 이같이 결정했다. 위원회 관계자는 통화에서 “오늘까지 5차례 비공개회의를 거친 끝에 2.8~3.3% 잠정안을 결정했다”며 “앞으로 기획재정부에 이 잠정안을 권고할 것”이라고 전했다.
2.8%는 최근 10년간 공무원 임금 인상률 평균치다. 3.3%는 최근 10년간 공무원 임금 인상률 평균치에 경제성장률, 소득 재분배 등을 감안한 것이다. 그동안 위원회는 2.8~3.9% 인상률을 검토했지만 이날 최종 회의를 통해 상한선을 0.6% 포인트 낮췄다.
최대 3.3% 인상률이 기재부, 국회를 거쳐 최종 확정되면 2017년(3.5%) 이후 3년 만에 최대 인상 폭이다. 2018년 2.6%, 2019년 1.8%로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2년 연속 감소했던 인상률이 반등하는 것이기도 하다. 최종 확정된 인상률은 국가직·지방직 등 전국 공무원(104만8831명·2017년 정원 기준)에 일괄 적용된다.
정부 대표로 당시 단체협약 체결식에 참석한 황서종 인사처장은 “노사 합의에 대한 이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인사처 관계자도 “공무원보수위 논의 내용을 무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내년도 정부예산안 확정(8월), 국회에 정부안 제출(9월), 국회 처리(12월), 시행(2020년 1월) 순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러나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노조는 반발하는 상황이다. 공노총, 전공노, 전교조는 지난 17일 청와대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공직사회의 비정상적인 임금과 처우 개선을 위한 투쟁에 적극 나설 것”이라며 파격적인 인상을 요구했다.
그러나 나랏곳간을 총괄하는 기재부는 난색을 표했다. 최근 경제 상황, 국가 재정이 좋지 않고 국민 여론도 호의적이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기재부 관계자는 “내년도 보수 인상률은 기재부가 재정여건 등 종합적인 여건을 감안해 예산을 편성할 때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재부는 애초에 공무원보수위원회의 멤버가 아니었다”며 “위원회에 고의로 참여하지 않았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