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부종이 생기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다. 암 수술, 방사선 치료, 림프계 손상 같은 후천적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고, 유전자 형성 과정에서의 손상 때문에도 발생할 수 있다. 암환자에게 재활치료를 할 때는 운동치료로 환자의 심폐기능과 근력을 키우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한다. 이중 림프부종 치료는 가장 활발히 이뤄지는 암환자 재활치료 중 하나다.
◇림프부종 생긴 곳 힘줄·관절에 이상 생길 수도
림프부종은 암환자에게 많은 불편을 끼친다. 팔·다리에 부종이 생기면 둔통(엉덩이 통증), 피부 이상감각, 무게감 등이 느껴진다. 육안으로도 부종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정신적 스트레스는 매우 큰 문제가 된다.
림프부종으로 통증이 생기면 일반적으로는 뻐근한 둔통이 약하게 느껴진다. 만일 환자가 통증을 심하게 느낀다면 림프관염이나 림프절염, 봉와직염 같은 이차적 염증으로 인한 것은 아닌지, 또는 악성 종양과 관련 있는 것은 아닌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또한 림프부종이 생긴 곳에는 힘줄 이상, 관절 이상 같은 다양한 근골격질환이 동반되기 쉽다. 그러므로 림프부종으로 인해 통증이 생기면 전문의에게 문의하여 이차적 진행을 막아야 한다.
림프부종을 진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숙련된 림프부종 전문의가 시행하는 검사다. 환자들이 흔히 호소하는 “무겁다”, “조인다”, “아프다” 등의 증상들은 참고할 수는 있어도 확실하게 진단하기엔 어렵다.
객관적 진단법들은 주로 부피 변화나 조직 변화를 기본으로 한다. 이주연 유성선병원 재활의학과 과장은 “부피 변화는 물이나 줄자를 이용한 둘레 측정 및 특수 부피 측정기로 확인할 수 있다”면서 “이중 팔다리 둘레를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간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측정법이 아직 표준화되지 못해 줄자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수치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쪽 팔·다리의 둘레 차이가 2㎝ 이상인 경우를 중등도 림프부종으로 진단한다”고 말했다.
◇가족들도 환자 도와야
림프부종 치료 방법으로 소개된 것들엔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환자에게 포괄적이고도 장기적인 유지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결국엔 어떤 종류의 치료법도 실패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보다 중요한 것은 부종이 발생한 곳의 부피를 지속적으로, 그리고 성공적으로 줄이려면 환자 뿐만 아니라 환자의 가족 구성원들도 자가도수림프배출법, 특수 압박붕대 감는 법, 특수 운동법들을 익혀 환자를 도울 필요가 있다.
◇부종과 감염 막으려면 피부 손상 막아야
이주연 과장은 “만성적인 염증성 질환인 림프부종은 발생 후 치료보다는 예방이 더욱 중요하다”면서 “환자들은 팔·다리의 부종과 감염을 피하기 위해 암 치료를 받은 팔다리에 각종 주사나 채혈 및 혈압 측정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떤 요인에 의해서든 피부 손상을 막아야 하며, 피부가 손상됐다면 즉시 응급 처치와 항생제 투여를 하고(또는 바르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팔·다리를 조이는 의류와 장신구는 착용하지 말고 선탠, 사우나, 뜨거운 물을 이용한 목욕을 되도록 하지 않아야 한다. 과격하거나 극심한 운동도 삼가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