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연해주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았다. 수탈과 착취를 견디다 못해 두만강을 넘는 조선인은 갈수록 불어났다. 1869년에는 함경도에 홍수 때문에 ‘기사흉년’이 발생해 농민 6500여 명이 대거 이주하기도 했다.
1905년 을사늑약 전후에는 국권을 되찾으려는 우국지사가 몰려들어 연해주는 항일독립운동의 요람이 됐다. 이범윤·이상설·이동휘·이동녕·신채호·박은식·최재형·홍범도·안중근 등이 독립군을 조직하고 애국계몽운동을 펼쳤다.
독립운동 진영의 내분과 일제의 집요한 탄압으로 항일 열기는 식어갔지만 연해주로 이주하는 발길은 끊이지 않았다. 1930년대에는 고려인이 20만을 넘었다. 곳곳에 고려인 학교가 세워지고 한글 신문·잡지가 발간되는가 하면 우리말 극단도 창립했다.
|
현대에 들어와서도 시련은 계속됐다. 1991년 연방 해체 후 독립한 구 소련의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민족어를 공용어로 선포하자 러시아어만 써오던 고려인들은 전문직과 공직에서 밀려나 하층민으로 전락하기 시작했다. 피땀 흘려 이룬 터전을 버리고 러시아 등지로 재이주하는 행렬이 생겨났다.
2023년 재외동포청 통계에 따르면 고려인은 우즈베키스탄(17만2555명), 러시아(12만1188명), 카자흐스탄(11만9542명), 키르기스스탄(1만8953명), 우크라이나(1만2711명) 등지에 흩어져 살고 있다. 이 가운데 11만 명이 우리나라에 체류한다. 국적별로는 우즈베키스탄(4만3326명), 러시아(3만8311명), 카자흐스탄(2만2503명), 키르기스스탄(4150명), 우크라이나(3456명) 순이다(2024년 1월 법무부 통계월보).
광주광역시 월곡동, 인천광역시 연수동(함박마을),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땟골), 충북 청주시 봉명동 등에는 고려인 마을이 생겨났다. 인구 감소와 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충북 제천시는 지난해 ‘고려인 등 재외동포 주민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고려인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경북 경주시도 지난 12일 ‘고려인 주민 지원 조례‘를 공포했다.
|
국내외 고려인공동체와 지원단체 등은 고려인/한인이주 16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를 결성하고 지난달 22일 국회에서 발대식을 열었다. 오는 9월 집중적으로 공연, 전시, 포럼, 세미나 등 다채로운 기념행사를 펼칠 예정이다. 재외동포청도 고려인 모국 초청을 비롯한 기념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고려인 가운데 상당수는 독립운동에 나섰거나 독립운동을 도운 애국지사의 후손이다. 국적이나 이념도 스스로 선택한 것이 아니었다. 이제 이들이 할아버지 할머니의 나라에 살고 싶어 우리 곁에 오고 있다. 고려인 형제·자매를 좀 더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