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 직후 만난 정부의 한 고위 당국자는 한반도정세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그는 “로켓 발사 전후로 국내 증시는 요동치지 않았다. 사재기 등 대규모 동요도 없었다. 북한 리스크가 국내 투자의 고려 사항으로 더 이상 크게 작용하지 않게 됐다”며 “모두 정부의 적절한 관리 덕분”이라고 자화자찬했다.
북한이 지난해 12월 쏘아올린 장거리 로켓에 대한 유엔의 추가 제재안 마련이 결국 해를 넘겼다. 추가 대북 제재 여부를 놓고 국제사회가 합의점을 찾지 못한채 표류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미국과중국의 대립 때문이다. 북한이 장거리 로켓으로 위장해 개발 중인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의 공격목표인 미국은 어떻게든 강력한 제재안를 만들어 실험을 중지시키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하지만 미국을 견제하려는 중국이 교묘히 제동을 걸고 있는 모습이다.
미국과 중국간 갈등의 틈바구니 속에서 북한 문제의 가장 큰 이해당사자인 한국은 이미 주도권을 빼앗긴지 오래다. 이명박 정부 5년 동안 북한은 우리나라를 배제한채 중국과는 공개적으로, 미국과는 물밑에서 계속 접촉을 해온 것도 이 같은 맥락 때문이다.
북한문제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선 미국과 중국 등 강대국간 틈바구니 속에서 적절한 균형외교를 통해 실리를 찾아야 할 것이다. 박근혜 정부도 이 같은 흐름 속에서 대북정책과 외교안보정책을 더욱 가다듬어야 한다. 특히 올해는 우리나라가 15년 만에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재선출돼 활동을 시작하는 해다. 이 모멘텀을 적절히 활용하기만 하면 강대국간 치열한 쟁투속에서도 우리의 목소리를 좀 더 크게 낼 수 있을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