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니퍼 스쿠바 교수는 미국 국방부 정책국에서 인구통계 컨설턴트 시절의 경험을 상기하며 “미 연방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정책은 현장에서 실제 일어나는 일과 동떨어질 때가 많았다”며 이렇게 말했다.
|
스쿠바 교수는 “한국도 대기업을 중심으로 육아휴직이 활성화 돼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남성의 수는 여전히 적다”며 “직장에서의 불이익을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용주나 기업, 사회 문화가 남성 근로자에게 더 많은 일을 시키고 부담을 지운다면 이를 개선하는 방법을 고민해봐야 한다”고 부연했다.
정부는 이 같은 기업, 사회 문화를 바꾸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원에만 집중하면 된다는 게 스쿠바 교수의 지적이다. 그래야 한국처럼 나이가 들면 자연스레 은퇴하는 경직된 고용 시스템에서 벗어나 유연한 근로 체계로 전환함으로써 노인 빈곤률도 완화할 수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 평균 기대수명이 높은 여성 노인의 평생 소득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적절한 간병 지원을 제공할 방안도 찾아야 한다고 그는 설명했다. .
이런 의미에서 스쿠바 교수는 현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남녀 모두에게 해당하는 일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미국의 경우 자녀 양육을 위해 주 35시간 미만 일하는 시간제 근무(Part-time job)를 선택하는 여성이 많다. 스쿠바 교수는 “나 역시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내가 선택해서 저임금 직장을 택한 경험이 있고, 친구들 중에서도 근로 대신 집에 머무르거나 파트타임을 구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부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