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 제명안 부결은 김 의원의 전 소속 정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김회재·송기헌·이수진 등 3명의 소속 위원들이 모두 반대표를 던져 의결 정족수인 과반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예견된 일이긴 하지만 농락당했다는 느낌을 갖는 국민이 적지 않을 것이다. 또한 민주당의 제 식구 감싸기도 문제지만 국회 윤리특위의 윤리불감증이 더 큰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 윤리 불감증은 소위는 물론 전체회의도 동수의 여야 의원들로만 구성된 데 기인한 것이어서 치유는커녕 견제도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해 준다. 윤리특위 산하 윤리심사자문위가 오래전 제명을 권고한 윤미향(무소속)·박덕흠(국민의힘)의원 징계안이 1년 반이 넘도록 감감무소식인 것도 같은 배경에서다.
윤리특위의 상설화도 필요하다. 지금과 같은 비상설 특위 형태로는 신속한 징계 처리가 어렵다. 미국과 일본은 양원에 상설 윤리위를 두고 있다. 윤리특위 자체의 혁신을 넘어 국회 내부나 외부에 의원들의 윤리규범 준수 여부를 상시 조사하는 전담 조직을 두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무늬만 ‘윤리’를 내건 국회 윤리특위가 스스로 변하지 않는다면 외부 압박이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