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개인 채권투자 규모는 4조2479억원으로 월별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 총 순매수 규모도 14조702억원으로 전년 동기 3조419억원 대비 4배 이상 증가했다.
개인 투자자들의 채권 사랑은 주식시장과의 비교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은 4월 한달 동안 4조원 이상을 ‘폭풍 매수’ 했지만 유가증권과 코스닥 시장에서는 2조773억원 순매수에 그쳤다. 한달 동안 주식시장보다 채권시장에 투자한 개인 투자자 규모가 두 배 이상인 셈이다.
개인투자자들의 채권 투자 ‘광풍’은 순매수 상위 채권 규모를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지난달 개인이 1000억원 이상 순매수 한 채권은 5개에 이른다. 정확히 1년 전인 지난해 4월 개인 순매수 규모가 1000억원이 넘는 채권은 단 하나도 없었다. 가장 많이 순매수 한 채권 규모는 608억원에 불과했다. 올해 4월은 3597억원으로 5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간접 매수는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에도 투자자가 몰려들고 있는 것이다. KG제로인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채권형 ETF 설정액은 25조6181억원으로 연초 21조5907억원 대비 4조원 이상 늘어났다. 이는 지난해 전체 설정액인 19조757억원보다도 34% 증가한 수치다. 뿐만 아니라 국내 주식형 ETF 설정액이 연초 31조6138억원에서 지난달 28조9274억원으로 3조원 가까이 감소한 것과 대조적인 흐름이다.
개인의 채권 투자는 금리 인하 기대감을 타고 지난해 말부터 본격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올해 본격적으로 금리 인하가 이어질 것이라고 봤던 시장 예상과는 다르게 실제 금리 인하 시기가 점차 미뤄지면서 더 늦기 전에 채권 투자 ‘막차’를 타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은행 예금금리가 조금씩 하락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그보다는 금리가 높은 채권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면서 “한국 기준금리는 지난 1월 금통위를 끝으로 동결됐고, 3월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후 미국 최종 기준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가 낮아진 점도 채권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을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개인 순매수 1위는 20년물 초장기채
본드웹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 채권 투자 규모가 4조원을 넘어선 지난달 기준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 한 채권은 국채 20-2으로 집계됐다. 이 채권은 발행 만기 30년, 잔존 만기 27년짜리 초장기물이다.
같은 기간 두 번째로 순매수 규모가 컸던 채권 역시 국채 19-6이다. 총 2858억원을 순매수했다. 이 채권도 발행 만기 20년, 잔존 만기 16년인 초장기채권이다.
이 같은 개인 투자자들의 ‘장기물 사랑’은 지난해까지만해도 두드러지지 않았다. 작년 금리 인상기 채권 개인 투자가 인기를 끌기 시작하던 8월 당시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 한 채권은 국채 20-8이었다. 이 국채는 발행만기 3년, 당시 잔존 만기 1년인 단기채다. 순매수 규모 역시 1151억원에 불과했다.
이는 작년 한 해를 놓고 봐도 두드러진다. 지난해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 했던 채권은 국채 20-8로 총 6698억원을 순매수했다. 올 들어서는 지난 12일까지 국채 19-6을 가장 많이 사들였다. 순매수 규모만도 1조2145억원이 넘는다.
올해는 순매수 상위 10위 안에 5년물 이하 단기물이 세 개뿐이지만, 지난해에는 절반인 다섯개가 5년물 이하였다. 전반적으로 장기채에 대한 투자가 올해 들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개인투자자들은 ‘고수익률과 짧은 만기’ 투자를 선호했다”면서 “현재는 ‘중수익률과 긴 만기’ 투자로 채권 수요가 이동하면서 개인 채권 매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낮아진 예금 금리…채권 인기 당분간 지속 전망
개인 투자자들이 장기채에 눈을 돌리는 이유는 변동성이 높기 때문이다. 채권 만기가 길수록 단기채보다 가격 변동성이 커진다. 향후 금리 하락으로 인한 기대 수익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소리다.
한 대형증권사 PB는 “작년만 해도 채권이 5~6% 금리를 안정적으로 내주는 역할을 해줬는데 스마트머니들은 이미 이를 다 가져갔다”면서 “이후 시장 금리가 꺾이기 시작하면서 조급해진 대기수요가 ‘이제는 마지막’이라는 생각에 채권에 올라타고 있는 것”이라고 최근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최근 시중은행 정기 예금 금리가 연 2~3% 수준으로 낮아져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안정성까지 보유하고 있는 채권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사랑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절세효과는 덤이다. 금웅투자소득세 도입 유예로 오는 2025년까지 채권에 투자할 경우 평가수익은 비과세다.
채권 인기에 덩달아 인기를 누리고 있는 채권형 ETF의 경우도 투자자들이 몰리는 비슷하다. 현재 금리 수준의 이익과 앞으로 금리 하락에 따른 자본 수익을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채권형 ETF는 보통 상품에 편입된 채권에서 발생하는 이자와 금리 하락 시(채권 가격은 상승) 매각 차익으로 수익을 내는 구조다.
김상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아직 채권시장 다른 기관과 비교할 때 설정액 자체는 큰 수준은 아니다”라면서도 “작년말 이후 채권형ETF 설정잔고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새로운 수요기반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증시 강세를 이끌었던 2차전지 테마 열기가 식고, 최근 소시에테제네랄(SG) 증권발 폭락 사태로 증시 변동성이 커진 점도 채권 투자 매력을 높여주는 요인이다.
김지만 연구원은 “최근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 금리 인상 기조 종료 시그널 등은 개인 채권투자 매수세를 확대시키고 있다”면서 “낮아진 예금금리 대비 상대적인 금리 매력, 또는 중장기적인 자본차익 기대에 따른 개인들의 채권 매수세는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