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는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하락한 이유는 8울 두바이유 배럴당 가격이 97달러로 2월(93달러) 이후 처음 90달러에 진입하는 등 석유류 가격이 하락한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축산물 가격도 올해 5~6월 10%대 상승세를 나타냈으나 수입 소고기·돼지고기에 0%의 할당관세를 적용하는 등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지난달 3.7%로 크게 낮아졌다.
지금까지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한 주요국 중 한국의 둔화폭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로존은 지난달 31일 8월 CPI를 발표했는데 전년동월대비 9.1% 올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월보다도 상승폭이 0.2%포인트 확대됐다. 프랑스(6.5%)의 경우 우리처럼 물가상승폭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둔화폭은 0.3%포인트로 우리에 못미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CPI 상승폭은 올해 1월 7.2%에서 6월 10.3%까지 올랐다. 과거 고물가 기간이던 2008~2011년에는 우리나라 물가 상승폭이 OECD 평균을 웃돌았지만 최근에는 반대 상황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위기에서 주요국에 비해 국내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덜 풀렸기에 상대적으로 낮은 물가 상승세를 보였고, 이로 인해 정상화도 다른 나라에 비해 빠르다는 의미다.
10월 대체공휴일 영향으로 연휴가 이어지면서 외식 물가 상승세도 계속될 수 있다. 지난달 외식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8.8% 올라 1992년 10월(8.8%) 이후 29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기재부 관계자는 “주요국에 비해 물가 상승폭이 낮은 수준이지만 현재로서 물가 정점이 언제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며 “당면 현안인 태풍에 잘 대응하면서 민생 안정에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