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경우 18개 부처 장관 중 가장 발표가 늦을 수밖에 없었다. 여야 이견으로 정부조직 개편안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만 지난달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통과되고 25일 국무회의에서 공포되면서 늦어도 7월말까지는 인선발표가 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20여일이 흘렀지만 여전히 깜깜 무소식이다. 오는 22일부터 시작하는 부처 업무보고조차 열외다. 왜 그럴까?
고심하며 말 아끼는 靑 “이번 주 발표도 쉽지 않다”
이는 새 정부의 1기 내각 인사가 사실상 마무리된 마당에 피날레를 장식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인사에서 ‘흠집이 나면 안된다’는 우려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취임 100일을 맞아 80% 안팎의 지지율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지만 그동안 인사문제로 적잖은 어려움을 겪었다. 새 정부의 파격 탕평인사의 상징이었던 이낙연 국무총리, 강경화 외교부장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의 경우 위장전입 문제로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시비를 겪으며 이른바 5대 인사원칙 파기 논란에 시달렸다. 또 안경환 법무장관 후보자와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경우 부실검증 논란 속에서 각종 악재로 낙마했다. 아울러 박기영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후보자의 경우 이른바 ‘황우석 사태’ 책임론 속에 자진사퇴하기도 했다.
초대 수장 ‘설왕설래’, 실세 정치인부터 학자 거쳐 벤처기업인까지
이 때문에 학자 또는 관료 출신 발탁설이 흘러나왔다. 대선캠프 출신의 이무원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와 최장수 중소기업청장을 지낸 한정화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현역 벤처기업계 출신 인사들의 하마평이 오르내린다. 아무래도 현장을 가장 잘 아는 인사들이 문 대통령의 중소기업 정책을 가장 잘 뒷받침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청와대는 인사추천위원회를 가동하며 정밀검증에 나서고 있지만 전문성, 도덕성을 갖춘 인재 찾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한다는 점이 가장 부담이다. 특히 현역 기업인의 장관 발탁에 최대 난관은 이른바 ‘백지신탁’ 여부다. 기업인의 경우 1∼2년 장관 하려다가 평생 일궈온 회사의 경영권을 잃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박근혜정부 초대 중소기업청장으로 임명됐던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가 스스로 물러난 것 역시 백지신탁 규정을 잘못 이해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고용노동부 장관과 마찬가지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인사 문제로 원점에서 재검토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