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안보실을 포함한 대통령실 전 구성원이 한마음으로, 또 원팀으로 노력해 나가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조태용 신임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30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취임 일성을 밝혔다. 조 태용은 ‘원팀’을 강조했다. 김성한 전 안보실장이 사퇴하면서 불거진 내분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 조태용 신임 국가안보실장이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
대통령실은 조 실장에게 기대감을 드러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외교적인 디테일(섬세함)을 가미하는 데는 학자 출신보다는 현장에서 외교를 했던 경험이 있는 조태용 실장이 더 적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 실장은 정통 외교관 출신의 대표적인 ‘미국·북핵통’으로 꼽힌다. 조 실장은 1980년 외무고시 제14회로 외교부에 입부한 이래 북미국장,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1차관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조 실장을 둘러싼 환경은 녹록지 않다. 당장 윤 대통령의 방미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 등의 일정을 협의해야 한다. 방미 일정 과정에서 불거진 미국 측과의 소통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김 전 실장을 비롯해 외교·안보라인 인사에 변화가 생겼다. 원만하게 방미 일정을 협의하는 게 급선무인 것이다.
조직개편을 통한 조직 안정화도 요구되고 있다. 그동안 대통령 순방 과정에서 벌어진 혼선과 잡음으로 인해 외교·안보 라인의 교체설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하지만 김 실장의 사퇴는 이같은 움직임에 더욱 가속도를 붙일 것으로 보인다. 당장 조 실장의 후임 자리에는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김 전 실장의 사퇴로 대통령실은 물론 정부의 외교·안보 라인까지 후속 조치가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
대통령실 내부에 팽배한 불통 문제 해결도 과제다. 대통령실 내부에서는 보안 등을 이유로 안보실이 주요 정보를 비서실과 공유하지 않아 대통령 일정 준비나 정책 마련에 어려움이 있다는 토로가 꾸준히 나돌았다. 비서실장도 본인이 직접 관여하지 않는 이상 안보실에서 일어나는 일을 공유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과거 비서실장 산하에 외교·안보라인을 두었던 것과 달리 비서실과 안보실을 분리하면서 생긴 구조적인 문제라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다만 조 실장이 ‘원팀’을 강조한 만큼 김대기 비서실장과 앞으로 어떻게 호흡을 맞춰갈지도 관심을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