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우 지수, 6주째 하락세
6일(현지시간)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30% 하락한 3만2899.37에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57% 내린 4123.34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40% 떨어진 1만2144.66을 기록했다. 이외에 중소형주 위주의 러셀 2000 지수는 1.74% 내렸다.
다우 지수는 6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들어 9.46% 하락했다. 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최근 5주째 떨어지고 있다.
개장 전 나온 고용보고서에 이목이 쏠렸다.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4월 비농업 신규 고용은 42만 8000개 증가했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40만개)를 상회했다. 실업률은 시장 예상치(3.5%)보다 높은 3.6%를 기록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직전에 기록한 50년 만의 최저치(3.5%)에 육박하는, 사실상 완전 고용 수준이다.
그러나 마냥 장밋빛은 아니라는 평가가 더 많다. 치솟는 인플레이션 탓에 임금이 계속 오르는 와중에 노동시장 참여율(노동력/16세 이상 근로연령인구)은 오히려 연중 최저치로 떨어지고 있는 탓이다. 4월 노동시장 참여율은 62.2%로 팬데믹 직전인 2020년 2월(63.4%)보다 낮은 상태다. 노동시장 회복을 말하기는 아직 섣부르다는 의미다.
애브딘 인베스트먼트의 루크 바르톨로뮤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낮은 노동시장 참여율을 거론하면서 “경기가 연착륙을 하려면 빠른 속도의 노동 참여 회복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엠마누엘 카우 바클레이즈 시장전략가는 “연준이 75bp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건 논의하지 않을 수 있지만 추후 통화정책은 매파적일 것으로 본다”며 “인플레이션을 늦추기 위해 성장 둔화를 택하는 것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만큼 성장과 물가를 둘러싼 딜레마는 시장의 최대 화두다. 리처드 클라리다 전 연준 부의장은 전날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 컨퍼런스에 참석한 자리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최소한 명목 중립금리인 2.5%보다 1%포인트 제한적으로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연준 예상보다 인플레이션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금리를 더 큰 폭 올려야 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이 와중에 초고유가 지속
국채금리는 이날 장중 내내 상승하면서 증시를 짓눌렀다. 글로벌 장기시장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3.138%까지 상승했다. 2018년 11월 이후 최고치다. 초장기물을 대표하는 20년물 금리는 3.462%까지 올랐다.
스포츠의류업체 언더아머 주가는 실적이 예상을 하회하면서 무려 23.79% 폭락했다. 언더아머는 1분기 주당 13센트의 손실을 냈다고 밝혔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연준과 더불어 영국 영란은행(BOE)의 기준금리 인상(0.75%→1.00%)까지 소화하며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54% 하락한 7387.94에 거래를 마쳤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1.73%,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1.64% 각각 내렸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 50 지수는 1.82% 떨어진 3629.17을 기록했다.
이런 와중에 초고유가는 좀처럼 잡힐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거래일과 비교해 1.4% 오른 배럴당 109.7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는 방안을 논의하면서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진 상태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EU 집행위원회가 러시아 원유 수입 금지를 꺼려 하는 회원국들을 설득하기 위해 앞서 제안한 방안을 일부 수정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