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계에 따르면 김동연 부총리는 예정대로 6일 오전 삼성전자 평택사업장을 찾아 이재용 부회장을 만나고 규제개선 및 현장 애로 해소 등에 대한 간담회를 갖는다. 그러나 기획재정부를 통해 발표가 예상됐던 삼성전자의 반도체·디스플레이·연구개발(R&D) 등에 대한 투자 확대 및 일자리 창출, 사회공헌 등 약 100조원 규모의 상생 방안 발표는 일단 무산됐다. 애초 기재부는 삼성 측이 마련한 투자 방안을 전달받아, 회동 직후 공식 발표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김 부총리는 취임 이후 LG그룹(2018년 19조원 투자·1만명 고용)과 현대자동차그룹(5년간 23조원 투자·4만 5000명 고용), SK그룹(3년간 80조원 투자·2만8000명 고용), 신세계그룹(3년간 9조원 투자·매년 1만명 이상 고용) 등을 차례로 방문, 당일 기재부를 통해 대규모 투자 및 고용 계획을 발표해왔다.
재계는 김 부총리의 입장 번복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월 인도 방문길에 이재용 부회장과 처음 만나 “한국에서도 더 많이 투자하고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한 이후, 삼성은 물론 재계와의 관계 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불과 한 달도 안 돼 또다시 청와대가 ‘삼성 포비아(공포증)’를 드러내고, 김 부총리마저 이에 동조해 상황을 원점으로 되돌린 데 대한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삼성을 제외하고는 국내 투자 촉진과 일자리 창출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정치 논리로 외면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세계 1위인 반도체는 물론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AI) 분야에서도 삼성전자는 2020년까지 1000명의 선행 연구 인력을 확보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2017년 한해 삼성전자의 R&D투자액은 16조 8031억원으로 LG전자(4조 338억원)와 현대자동차(2조 4995억원), SK하이닉스(2조 4870억원) 등 2~10위 기업의 투자총액(15조 9375억원)을 능가했다. 무기한 연기된 삼성의 투자 계획에는 AI 등 4차 산업 및 미래 먹거리 관련 투자·일자리 확대 방안도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평택사업장은 첨단기술을 다루는 보안시설이라 삼성과 협의해 결정한 사안”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