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리 인상 3.5~3.75%에서 멈춘다…하반기 '인하 기대감'도[금통위폴]②

전문가 11명 중 6명 최종금리 3.75%, 5명 3.5%
올 연말 금리 3.0~3.75%로 의견 분분
최종금리 도달 후 7명은 '연말까지 동결'…4명은 '인하'
경제성장률 1% 위협받을 정도로 침체 올 것이냐
유가 다시 100달러로 튀면 '물가 잡은 것 맞냐' 논란 생길 수도
  • 등록 2023-01-09 오전 5:00:00

    수정 2023-01-09 오전 5:00:00

[이데일리 최정희 하상렬 기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서서히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면서 최종 금리가 3.5%에서 막을 내릴 지, 3.75%에서 끝날 지 의견이 갈리고 있다. 5%의 고물가가 올해 초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큰 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최종금리 수준도 상향 조정되는 분위기다.

최종금리에 도달한 이후에는 연말까지 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의견이 우세하지만 경기가 빠르게 침체될 경우 물가 또한 급속도로 떨어질 수 있어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도 제시된다. 수출, 소비 등 경기부진이 가시화되고 부동산 경기 또한 불안하다. 경제성장률이 1% 밑으로 떨어지며 ‘경기침체’ 수준으로 악화될 가능성도 크다. 금리 경로에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은 또 있다. 하반기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이상으로 반등할 수 있다는 전망 등에 금리 인상기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을 것인지에도 의구심이 생기고 있다.

*미국은 금리 상단 기준 출처: 한국은행
◇ 최종금리 3.5~3.75% 전망


9일 이데일리가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경제연구소 연구원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6명이 최종금리를 3.75%로 전망했고 5명은 3.5%로 예상했다.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3.5%로 0.25%포인트 인상한 후 금리 인상을 멈출지, 2월에도 추가 인상할지 의견이 갈린다.

금리를 올리는 가장 큰 이유는 물가다. 물가상승률이 5%로 목표치(2%)를 훌쩍 넘고 있다. 작년 7월 물가상승률이 6.3%로 정점을 찍은 후 11월, 12월 5.0%로 서서히 둔화하고 있지만 올 1, 2월에 소폭 위로 튈 가능성도 제기된다. 작년말에는 농산물 기저효과로 물가가 5.0%로 빠르게 떨어진 것이란 평가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최종금리가 3.5%에서 멈출 것인지, 3.75%까지 올라갈 것인지는 연준의 최종금리에 달려 있을 가능성이 크다. 기준금리 3.5%는 한은이 고려하는 중립금리(2~3%)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금리가 고물가를 잡기 위해 경기를 옥죄는 ‘긴축’으로 접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리 3.5%에서도 경기침체 경계감이 커지는데 금리를 3.75%까지 올려야 한다면 그 이유는 한미 금리 역전폭에 대한 고려일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작년 12월 금리 점도표를 통해 최종금리를 5.1%(중간값)로 전망했다. CME 페드워치도 최종금리 수준을 5~5.25%로 보고 있다. 올해 투표권을 얻게 된 ‘매파(긴축 선호)’ 성향의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5.4%까지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 금리(4.25~4.5%)보다 1%포인트 더 올려야 한다는 얘기다. 우리나라가 미국 금리를 쫓아갈 수 있을 정도가 경기가 받쳐주거나 물가가 심각할 것으로 보이진 않지만 경기를 망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격차를 좁히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 작년 한미 금리 역전폭 확대 우려 등에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중반까지 오른 아픈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 예측불가 ‘금리 경로’… 물가 다 잡았냐 vs 경기는 어쩌냐


기준금리가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3.5~3.75% 최종금리에 다다른 이후에는 전망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 11명의 전문가 중 7명만 연말까지 금리 동결을 주장했고 나머지 4명은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놨다.

연말까지 금리 동결을 예상한 윤석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러시아, 중국발(發) 물가 위험이 잔존해 향후 물가 안정 목표 달성에 불확실성이 요인이 여전히 많다”며 “통화정책 전환(Pivot)을 위해선 물가의 하향 안정, 고금리 장기화로 인한 신용사건 발생 등 부작용 우려가 부각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종금리가 상반기에 마침표를 찍을 것이라는 기대가 크지만 물가를 모두 잡은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하다. 물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국제유가 전망이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센터는 하반기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설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이 코로나 봉쇄 정책을 해제하면서 가뜩이나 공급 부족인 원유 시장의 수요를 자극할 수 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위원은 “유가 등 에너지 가격 변화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부각될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1970년대 미국이 겪었던 ‘스탑앤고(Stop and go·물가를 잡았다고 착각해 금리 인상과 인하를 반복)함정’은 한은이 쉽게 금리를 인하하기 어려운 이유로도 지적된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반면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1월 금리 인상이 마지막일 것으로 보이지만 시장의 기대 통제를 위해 추가 인상 정도는 열어둬야 할 것으로 보여 2분기까지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상존한다”면서도 “4분기 물가 통제력을 확보한 이후엔 금리를 3.25%로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위원도 “공격적 금리 인상으로 가계, 기업의 이자부담이 전년 대비 30조원 가량 증가했다”며 “시차를 두고 민간소비, 기업 투자를 위축시켜 경기침체 우려가 더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위원은 부동산, 건설 경기 침체와 가계부채 문제로 연말 금리는 3.0%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작년 10월 누적으로 10.4%나 급락했다. 전세 가격지수도 5.2% 떨어졌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위원은 “내년 1분기 금리 인하를 전망한다”면서도 “경제성장률 1%가 위협받는 침체 수준으로 간다면 금리 인하 시점이 빨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즈나, 혼신의 무대
  • 만화 찢고 나온 미모
  • MAMA 여신
  • 지드래곤 스카프 ‘파워’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