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글로벌 공급망 대란에 이어 고물가·고금리 충격이 지구촌 경제를 패닉 상태로 몰아넣고 있다. 미국 연준(Fed)의 고강도 금융 긴축 전망이 그제 아시아와 유럽 주요국 증시 주가를 3~4%씩 끌어내린 데 이어 미국 증시도 13일(현지시간)개장 초부터 급락했다. 나스닥은 5% 가까이 추락했고, S&P500도 약 4%나 빠졌다. 포스트 코로나19의 새로운 질서 재편과 회복을 꿈꿔 왔던 세계 경제가 예상치 못한 변수에 잇따라 발목 잡히면서 침체로 빠져들 위기에 봉착한 것이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미국 경제학자 49명 중 70%가 내년 안에 미국 경제가 침체될 것으로 예상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세계 경제를 덮친 최근의 악재들은 일과성 변수다. 시간이 지나면 영향력이 약해지거나 국가간 공조와 협력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요인들이다. 이와는 달리 인류의 삶과 경제, 국가 존립에 미치는 영향은 지구 전체를 커버하면서도 맞설 수 있는 힘은 극히 제한적인 상수가 하나 있다. 바로 기후위기다. 식량 위기 등 우리 눈앞에 닥친 경제적 타격을 당장 떠올릴 수 있지만 기후위기가 인류 사회에 안긴 변화와 충격에 비추어 볼 때 이는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기후는 국제 질서의 판을 바꾸고 기업의 미래 생존을 좌우할 상수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자유무역을 지향해 온 세계무역기구(WTO)내부에서조차 교역 과정에서 탄소제품을 배척하려는 움직임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환경과 통상이 연계돼 신통상 규범을 뿌리내렸으며 저탄소 국가끼리만 자유교역에 나설 수 있다는 유명희 외교부 경제통상대사의 예고는 한국이 특히 새겨들어야 할 지적이다. 국제 투자자들이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이 느린 기업에 명확한 페널티를 부과하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보고도 예사롭지 않다.
오늘 개막하는 13회 이데일리 전략 포럼은 이같은 상황에서 ‘기후위기의 미래 해법’을 찾기 위해 열린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포럼에선 석학과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탄소 중립, RE100 도전, 온실가스 감축 등을 함께 고민하고 지혜를 나눌 예정이다. 정부와 우리 기업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을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