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신하영·김형환 기자] 6.1 교육감선거에서 이른바 ‘진보 교육감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진보에서 보수로 교육 권력이 이동한 곳의 향후 정책변화에도 관심이 쏠린다. 특히 2007년 직선제 도입 이후 줄곧 진보교육감이 교육 권력을 잡았던 경기도가 대표적이다.
5일 교육계에 따르면 경기지역은 2007년 교육감직선제 도입 이후 김상곤·이재정 등 진보교육감이 연이어 당선된 곳이다. 진보교육의 상징인 혁신학교도 경기도에서 가장 먼저 시작돼 전국으로 확산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기준 전국의 혁신학교 수는 총 2746개교로 이 중 50.7%(1393개교)가 경기도에 몰려있다. 경기도만 놓고 보면 도내 초중고 2455개교 중 57%가 혁신학교다. 경기도가 그간 ‘혁신학교의 메카’로 불렸던 이유이다.
이런 경기도에서 직선제 도입 후 첫 보수교육감이 당선되면서 혁신학교가 존폐 위기를 맞고 있다. 임태희 교육감 당선자는 후보 시절부터 “혁신학교의 양적 팽창을 지양하고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며 “혁신학교 신규 지정을 중단하고 그간의 성과를 점검, 엄정하게 재지정 평가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혁신학교를 더 이상 추가 선정하지 않고, 이미 혁신학교로 지정된 곳도 평가를 통해 지정 취소할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정부 고위 인사의 자녀 대부분은 자사고·특목고에 재학 중이란 통계가 공개되면서 혁신학교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전희경 국민의힘 의원이 2019년 당시 문재인 정부 고위 인사 자녀들의 출신학교를 전수 조사한 결과 18명의 장관 중 12명(66.7%)은 자녀를 해외유학 보내거나 자사고·외고·강남8학군에 입학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임태희 당선자는 “진보교육감들조차 자녀를 혁신학교 대신 자사고·특목고에 보냈다는 사실이 혁신학교에 대한 신뢰도를 더욱 추락시켰다”며 “혁신학교의 학력 저하에 대한 문제제기를 정치 공세로 몰아붙이기 전에 진보교육계가 논란과 불신을 자처한 것은 아닌지 되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