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지난달 개최된 ‘이데일리 퓨처스포럼’ 강연을 통해 지능정보기술의 부상에 따른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을 강조했다. 어느 나라, 어느 기업이 인공지능 기술을 먼저 개발하고 상용화시키느냐에 국가나 산업의 미래가 좌우된다는 것이다. 최 장관은 3월 중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굴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인공지능 연구 현황을 점검하기도 했다.
정부가 인공지능 활성화에 팔을 걷었다. 민간 주도 연구소 기업인 ‘지능정보기술연구소’를 만들고 예산 300억원을 지원해 인공지능 활성화의 초석을 닦는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결정은 갑작스러운 것이 아니다. 올해 초부터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연구소 기업인 지능정보기술연구소를 설립해 ‘K-정보통신기술(ICT)’ 전략의 기반 인프라로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생태계 조성, 기술 확보, 규제 개선, 투자 지원, 역기능 예방 등 종합적인 로드맵을 준비, 4월 대통령 보고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지능정보기술연구소에 거는 각계의 기대는 크다. 한국의 인공지능 수준은 미국의 75%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반도체, 스마트폰 이후 신성장동력이 딱히 없는 상황에서 인공지능이 우리나라 산업의 새로운 모멘텀
|
또한 진지하게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게 아니라 ‘알파고’ 열풍에 편승해 부처별로 관련 대책이 난립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산학연 전문가들과 인공지능 응용·산업화 간담회를 열어 “연간 130억원 규모의 기술개발 자금 규모를 200억원 이상으로 대폭 확대하고 지원분야도 스마트공장, 보안서비스, 의료지원서비스 등 여타 응용 분야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미래부 관계자는 “인공지능을 비롯한 ICT 정책은 부처 간 칸막이가 있어서는 큰 효과를 거둘 수 없으며 특정 부처가 주도한다고 잘 되는 것도 아니다”라며 “미래부를 중심으로 고민하고 유관 부처들이 모두 힘을 합쳐 최상의 결과를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