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포럼, 삼성전자·LG엔솔 등 참여
23일 산업통상자원부, 대한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민관이 함께 추진하는 CFE포럼이 내달 중으로 포럼 의장과 워킹그룹장 등 인선 작업을 마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 CFE포럼은 무탄소 에너지 활용을 확대하고, 국제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5월 출범했다.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포스코, 두산에너빌리티 등 주요 대기업들이 참여하는 CFE포럼은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CFE의 범위와 기준, 인증서 거래방법 등을 결정한다.
|
대표적인 것이 ‘RE100’ 캠페인이다. 오는 2050년까지 기업 사용전기 100%를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RE!00 캠페인은 다국적 비영리기구 클라이밋그룹 주도로 2014년 출범해 현재 415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여기엔 구글, 애플, BMW 등 세계 굴지의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는데, 이들이 다시 협력사에 RE100 이행 계획을 요구하고 있어 납품 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앞서 구글과 유엔에너지 등은 하루 24시간 주 7일 무탄소에너지를 사용한다는 취지의 ‘24/7 CFE’ 캠페인을 시작했다. RE100이 녹색 프리미엄 요금을 내는 방식의 우회로가 있는 만큼, 더 완벽한 탈탄소를 추구한 개념이다. 일찌감치 RE100을 달성한 구글 등 전세계 133개사가 이에 동참했다. 국내에선 한국수력원자력, 엔라이튼 등이 가입했다.
이번에 추진하는 CFE는 철강·석유화학 등 탄소 다배출 산업분야를 감안해 ‘24/7 CFE’보다 기업들의 부담이 덜 한 방향으로 운영될 전망이다. 업계에선 미국 정부의 청정에너지 기준을 따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은 청정에너지 대상을 재생에너지, 원자력, 청정수소를 포함한 무탄소에너지로 정의했다. 화석연료를 쓰더라도 여기에서 나오는 탄소를 포집·저장(CCS)할 수 있다면 이 역시 청정에너지로 규정했다.
|
관건은 국제 확산 여부다. 정부가 한국식 CFE 인증제도를 만들어 운영하더라도 이 인증서가 국내에서만 통용된다면 기업들이 글로벌 탄소 무역장벽을 헤쳐나가는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미 ‘RE100’, ‘24/7 CFE’ 등의 캠페인이 수년째 진행되고 있다는 점도 글로벌 확산에 걸림돌로 꼽힌다. 이에 정부는 국제 협력을 통해 제도를 보완, 정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미 CFE 국제협력을 모색하고 나섰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지난 15~16일 미국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에너지장관회의에 참석해 올 하반기 APEC 기금 프로젝트로 CFE 활용 촉진 프로그램을 시행하자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아시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협상,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등 국제 협의체에 의제로 올리는 방안도 강구 중이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각 나라마다 여건이 달라 ‘RE100’, ‘24/7 CFE’의 한계가 명확한 상황에서 모든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하는 CFE는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며 “재생에너지 공급이 여의치 않은 우리 기업들의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해주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