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내년초 인하 전망 나오는데 한은 먼저 할 수 있나, 못하나
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1월 기준금리를 연 3.5%로 올린 후 석 달 넘게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연준은 지난 2∼3일 열린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4.75∼5.00%에서 5.00∼5.25%로 0.25%포인트 인상해 한미 금리 역전폭은 1.75%포인트로 역대 최대치로 벌어졌다.
|
시장에서는 한국이 미국보다 금리를 먼저 내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위원은 “2015~2016년 미국은 금리 인상 사이클이었지만 우리나라는 국내 경제 상황에 맞춰 금리를 내린 적 있다”며 “연준은 내년 초에나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이는데, 한은은 올 10월께 금리를 먼저 내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리 인상도 인하도 어려워’…물가·금융불안에 꽉 막혀
경제지표 등을 놓고 보면 한미 양국 모두 금리 인하는 물론, 인상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크리슈나 스리니바산(Krishna Srinivasan)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국장은 4일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 총회에 참석해 한국이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인하할 경우 예상되는변화를 묻는 질문에 “금리 인하도, 과도한 긴축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했다.
그는 “한국의 경우 전체 4월 물가상승률이 전년동월대비 3.7%를 기록했지만, 목표치를 상회하고 근원물가는 4%인 만큼 한국 입장에선 물가를 잡는 게 중요하다. 섣부른 완화는 무조건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면서도 “성장 모멘텀 둔화,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 완화 등으로 과도한 긴축도 피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수요측 영향을 받는 근원물가가 높은 수준에서 제대로 꺾이지 않으면서 미국뿐 아니라 우리나라도 금리 인상 종료를 공식 선언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의 4월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대비 0.5% 상승하면서 예상치(0.3%)를 상회했고, 실업률은 3.4%로 54년 만에 가장 낮았다. 근원물가도 4% 중반대다. 우리나라도 근원물가는 석 달째 4%를 기록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가 우리나라와 비슷한 위치라고 언급했던 호주의 경우 금리 인상 중단을 시사했다가 1분기 물가상승률이 7%를 기록하자 깜짝 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고금리 장기화 속 ‘금융우위’ 상황 주의 필요
한미 양국 모두 장기간 금리 동결기가 유력해지면서 신용 위험 발발 등 금융 불안이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국에선 은행권 부실이 줄줄이 터지면서 금융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질 정도로 악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빨라질 전망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인하한다면 그 배경은 ‘물가 안정’ 목표 달성보다는, 부동산 PF부실화 등 금융불안 확산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는 물가 불안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강제로 떠밀려 금리를 내려야 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한은 입장에서는가장 피하고 싶은 시나리오다. 앞서 이창용 총재는 “금융안정 때문에 금리를 올리는 것에 제약을 받는, 소위 ‘금융우위’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되고, 또 그렇게 하지 않도록 다양한 툴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