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대형 상가의 진화가 눈부시다. 음식점과 미용실, 공인중개사사무소, 편의점 등의 점포들이 주를 이뤘던 상가가 쇼핑과 문화, 여가를 아우르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상가 트렌드는 점포 수가 적은 단지 내 상가보다 대형 근린생활시설이 이끌고 있는 데 모두 3단계에 걸쳐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선종필 상가뉴스레이다 대표는 “4층 이상 대형 상가에 점포들만 모아 놓은 게 수도권 1기 신도시 상가였다면 2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등장한 스트리트(가로)형 상가가 진화의 두 번째 단계, 여기에 문화시설(영화·공연·전시관)까지 갖춘 게 세 번째 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업계에 따르면 상가는 2000년대 중반과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점포들의 집합소로서의 역할만 담당했지만 지금은 먹거리와 볼거리, 즐길거리가 풍부한 공간으로 재탄생되면서 지역 랜드마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스트리트형과 복층형 테라스 등 최신 설계와 각종 편의시설을 한 곳에 모아 놓길 바라는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결과가 상가 진화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복합문화공간을 갖춘 새 상가들이 신도시를 중심으로 속속 들어서고 있어 눈길을 끈다. 계룡건설은 최근 세종시 2-4생활권(나성동) P2블록에서 대형 상가 ‘어반아트리움 더 센트럴’ 분양에 나섰다. 지하 3층~지상 12층, 연면적 4만 9678㎡(상가 302실·오피스 10실) 규모인 이 상가는 상업시설과 문화가 공존하는 특화상가로 문화 및 집회시설(공연장·회의장 등)도 갖춘다.
경기 시흥 배곧신도시에서는 서영건설플러스가 테마파크 스타일의 ‘베니스 스퀘어’ 상가를 분양하고 있다. 이 상가는 쇼핑몰 내에 소규모 가게들도 입점해 물건을 팔 수 있게 만든 ‘몰 인 몰’(Mall in Mall) 형태의 신개념 복합쇼핑시설로 지하 2층~지상 8층, 연면적 6만 4667㎡ 규모다. 2개의 테마광장은 축제 및 이벤트 장소로 쓰일 계획이다.
집값 상승 호재 작용… “고분양가·업종 선택 주의”
문화·여가 기능을 갖춘 대형 복합상가는 주변 집값을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9월 경기 하남시 신장동에 복합상업시설 ‘스타필드 하남’이 들어선 이후 주변 아파트값이 꽤 많이 올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신장동 ‘대명강변타운’ 아파트 전용 84㎡형(13층 기준)은 지난 8월 4억 2800만원에 거래된 데 이어 다음 달에는 4억 5000만원에 팔렸다. 특히 11·3 부동산 대책 등 정부의 잇단 부동산 규제에도 이 아파트는 지난달 4억 6850만원에 거래가 이뤄졌다. 인근 G공인 관계자는 “대형 복합쇼핑몰 입점 영향으로 주변 아파트값과 새 아파트 분양권 시세가 모두 매월 1000만~2000만원 정도 오르고 있다”며 “겨울 비수기에다 정부의 잇단 부동산 규제로 주택시장이 주춤한 편이라고 하지만 이곳에선 딴 세상 얘기”라고 말했다.
라베니체 마치 에비뉴와 인접한 한강신도시 장기동 ‘쌍용예가’ 아파트 전용 84㎡ 매매가는 3억 3000만~3억4000만원 선으로 한 달새 1000만원 가량 올랐다. 지난달에도 한 달 전보다 2000만원 오른 3억 2850만원에 팔렸다.
전문가들은 대형 복합상가 투자 시 만만찮은 자금이 들어간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수도권 복합상가 분양가(1층 기준)는 3.3㎡당 2200만~4000만원대로 다양하다. 김민영 부동산114 선임연구원은 “복합상가는 유동인구를 강하게 흡입하는 장점은 있으나 워낙 고가에 분양되다 보니 일반 투자자가 무턱대고 접근했다간 금전적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꾸준한 임대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점포 위치에 따른 업종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