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통신 기업들이 운영하는 상용망과 정부가 직접 구축하는 자가망을 적절히 혼합해 망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하고 망 생존성을 높이려는 게 눈에 띈다.
유선은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을 동시에 활용하되 무선망은 주로 중계기 형태로 직접 구축하는 형태다. 운영은 민간 사업자가 맡는다. 대신 망 임차 및 이용료를 민간 사업자로부터 받는다.
2010년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자가망 구축비로 37조~52조 원으로 추정했다가-미국은 우리보다 국토 면적이 98배 크다-얼마전부터 통신사에 재난망 주파수 여유대역을 상용서비스로 이용하게 하고 이를 통해 재난망 예산을 줄이는 방식을 추진하는 게 특징이다.
미국 의회 조사국 보고서(2015년 2월 27일)는 민간 위탁 운영 등을 통해 재난망 예산을 37조~52조 원에서 5조5000억 원까지 줄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일본은 다채널접속시스템(MCA) 방식의 자가망을 재난망으로 사용 중이나 구축방식은 확정하지 못했고, 중국도 1.4GHz 주파수에서 20MHz 대역을 재난망으로 할당하기로 했지만시험망 구축 수준이다.
▶ 관련기사 ◀
☞ [재난망 혈세낭비]]①세월호에 허둥지둥…다음 정부 감사 가능성
☞ [단독]재난망 혈세낭비..정부 '직접 통신사 운영’ 재검토
☞ [재난망 혈세낭비]]②기술로 본 정부 계획의 문제점
☞ [재난망 혈세낭비]④국가가 직접 망 운영, 전두환·김영삼 때도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