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현지시간)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올해 3월 펜딩(pending) 주택판매지수는 전월 대비 1.2% 하락한 103.7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8.2% 떨어졌다. 이 지수는 이미 매매 계약에 돌입한 주택 판매를 지수화한 것이다. 향후 부동산 시장 추이를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지표로 꼽힌다.
이는 팬데믹 초기인 2020년 3월 이후 가장 낮다. 최근 5개월 연속 하락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1.8% 하락)보다는 양호했지만, 둔화 국면에 있다는 점은 다시 확인됐다는 평가다. 그나마 미국 북동부 지역의 경우 전월보다 4.0% 상승했지만, 중서부(6.1% 하락) 등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팬데믹 이후 ‘역대급’ 초호황을 보인 부동산 시장이 변곡점에 들어선 것이다.
모기지 금리가 갑자기 오르고 있는 건 글로벌 장기시장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를 비롯한 시장금리가 일제히 오르고 있어서다. 연준이 가파른 긴축을 예고하자, 부동산 시장이 직격탄을 맞고 있는 셈이다.
미국 부동산업계는 모기지 금리가 5%대에서 차츰 안정화할 것이라는데 무게를 싣고 있다. 5%대 정도면 주택 수요 역시 급격하게 줄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7% 이상 재차 폭등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있다. 뉴욕시에서 활동하는 한 부동산 중개인은 “소수이기는 하지만 올해 여름께 7% 이상 모기지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며 “이럴 경우 주택 가격이 갑자기 급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곧 미국 경제가 부동산 시장으로 인해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만에 하나 연준이 인플레이션에 쫓겨 예상보다 가파르게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국채금리가 또 레벨을 높일 경우 모기지 금리는 추가 상승이 불가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