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씨는 “현재 건강보험과 함께 묶여 있는 실손보험 보험료만 거의 5만원 넘게 내고 있다. 그런데 올해 갱신주기를 맞으면서 7만원이 넘는 돈을 내야 할 판”이라며 “오랫동안 보험료를 내면서 병원비를 청구한 적이 거의 손에 꼽을 정도다. 가족력도 없어서 진지하게 4세대 실손보험으로 갈아타는 것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2017년 전 1ㆍ2세대 실손의료보험을 가입한 사람들이라면 ‘4세대 갈아타기’를 한번 쯤은 고민해봤을 것이다. 갱신주기마다 불어나는 보험료 때문에 생활비 부담이 점점 커지기 때문이다. 지난 5년간 집계된 1ㆍ2세대의 평균 보험료 인상률은 이미 70%가 훌쩍 넘었다. 더욱 암담한 건 큰 변화가 없는 한 앞으로도 보험료 인상은 계속될 예정이라는 것이다. 가입자들의 고민이 깊은 이유다.
1세대 대비 4세대 보험료 7분의 1수준
우선 실손보험 갈아타기를 생각하고 있다면 일단 실손보험의 구조에 대해 알아놓는 게 중요하다. 실손보험은 병원 진료 중 발생한 실제 비용을 보장해주는 상품이다. 진료 영수증만 있다면 보험금을 보험사에 청구해 받을 수 있다. 실손보험은 첫 출시 이후 지금까지 총 3차례 수술을 거치면서 현재까지 4가지 종류의 상품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는 2009년 7월 이전에 나온 상품인 1세대, 이후부터 2017년 4월 전까지 판매한 상품인 2세대, 그리고 지난해 7월 전까지 나온 상품인 3세대, 그리고 현재 판매 중인 4세대다.
세대별 특징은 각기 다르지만 대체로 초창기 상품일수록 쉽게 보험금을 탈 수 있는 구조다. 1·2세대의 경우 보험금을 탈 때 제외하는 자기부담금이 없거나 10% 수준으로 적고, 보장 한도도 높다. 특히 2003년 9월 이전에 가입한 상품은 갱신주기도 없고, 다른 보험과 보험금이 중복으로 보장되는 상품도 있다.
3세대 상품은 종합보험의 특약 형태가 아닌 단독으로 가입이 가능한 상품이다. 비급여 보장 부분도 선택이 가능해 맞춤형 설계를 할 수 있다. 다만 자기부담금을 높이는 등 보험금 지급이 다소 깐깐해졌다. 물론 보험료는 1·2세대와 비교해 보험료는 저렴하다.
마지막으로 현재 많은 사람들이 갈아타기를 고민하는 4세대 실손보험이다. 보험료가 저렴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3세대보다도 싸다. 지난해 40세 남성 평균 월 보험료 기준으로 보면 1세대 보험료가 약 4만원, 2세대는 2만5000원, 3세대는 1만3000원, 4세대는 약 1만2000원 정도다. 오는 6월 말까지 가입하면 앞으로 1년 동안은 5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월보험료는 6000원 수준이다. 1세대 보험 기준으로 보험료가 7분의 1수준 가까이 싸지는 것이다.
|
다만 기존 보험과 다르게 보험금을 얼마만큼 탔는지에 따라 이듬해 보험료가 결정되는 할인·할증 방식이 생겨났다. 사고를 내면 보험료가 올라가고, 무사고 경력이 길어지면 보험료가 내려가는 자동차보험과 구조가 비슷하다.
실손보험 가입자들이 가입을 망설이는 이유는 바로 이 할인·할증 때문이다. 지금은 병원에 가지 않지만 혹시나 병원에 가게 되면 보험료가 큰 폭으로 오르지 않을까 하는 걱정에서다.
하지만 막상 보험료를 비교해보면 보험료 부담은 크지 않다는 걸 알 수 있다.
실제 40세 남성 기준으로 2세대와 4세대 보험료 인상분을 비교해보니, 가장 큰 할증률을 적용해도 4세대 보험료가 저렴했다. 2세대의 40세 남성 기준 1년차(40세) 보험료는 2만8696원이다. 2년차가 되면 3만4286원이고, 3년차는 4만965원이다. 기본적으로 연령증가에 따른 인상률 3%를 적용했고, 여기에 2세대 평균 보험료 인상률인 16%도 적용했다.
반면 4세대 보험은 1년차 보험료는 1만1982원이다. 병원을 가지 않아서 할인이 된다면 2년차에 1만1975원, 3년차에는 1만2184원이 된다. 연령 인상에 따른 할증 3%, 할인율은 5%를 적용했다. 연간 병원비가 100만원(비급여) 미만이라면 연령인상분만 적용해 3년차 보험료는 1만2561원이다.
게다가 2024년 6월까지는 통계확보를 위해 할인·할증을 적용하지 않는다.
보장부분에서도 3세대에서는 어려웠던, 불임관련 질환·선천성 뇌질환·피부질환도 보장이 된다.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은 있지만, 급여에 대한 보장이 크게 확대된 셈이다.
|
물론 싸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4세대의 경우 자기부담금이 건강보험 급여에 대해서는 20%, 비급여에 대해서는 30% 자기부담금을 부과한다. 1세대의 경우 자기부담금이 없고, 2세대는 10~20%였기 때문에 4세대로 갈아타면 자기부담금이 많아지는 것이다. 병원에 자주 가는 사람이라면 4세대 실손보험이 꼭 유리하지 않을 수 있다.
현재 4세대 실손보험은 자신이 가입한 보험회사에 연락하면 전환이 가능하다. 물론 가입 전에 설계사를 통해 보험료를 꼼꼼하게 비교해보는 것은 필수다. 보험료, 자기부담금, 자신에게 꼭 필요한 보장내용이 있는지를 확인한 뒤 신중하게 갈아타야 한다. 실손보험은 한번 바꾸면 과거 상품을 다시 가입할 수 없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2012년 이후에 가입한 사람들은 갱신주기가 15년이라, 가입한 뒤 15년이 지나면 어쩔 수 없이 갈아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며 “물론 보험이 반드시 보험료 기준으로만 선택해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합리적인 상품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