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락천사' 금융위기 불씨 댕기나…"1조달러 회사채 휴지조각 될수도"

코로나19에 유가하락까지 뉴욕증시 '블랙먼데이'
풍부한 유동성 속 BBB·정크본드 호황 누렸지만
위기에 채무불이행 우려 커져
  • 등록 2020-03-11 오전 12:00:00

    수정 2020-03-11 오전 12:00:00

△뉴욕증권시장[사진=AFP제공]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타락 천사들이 금융시장에 파문을 일으킬 수 있다”

지난달 20일(현지시간)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가 미국 백화점그룹 메이시스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투기등급인 BB+로 내리자 파이낸셜타임즈가 뽑은 제목이다.

월가에서는 투자등급에서 투기등급으로 추락한 기업들을 ‘타락 천사’라고 부른다. 2019년에는 타락 천사들이 13개였다. 그런데 2020년 들어 불과 2개월 만에 6개 회사가 대열에 합류했다.

메이시스를 비롯해 미국 식품 대기업이자 워런 버핏이 투자한 회사로도 유명한 크래프트하인즈, 보잉 737맥스의 부품 공급 회사인 스피릿 에어로시스템, 아폴로인베스트먼트, 미국에서 가장 큰 천연가스생산업체인 EQT와 또 다른 천연가스회사인 EQM미드스트림파트너즈 등이다. 덩치도 크다. 이들이 발행한 ‘투기등급 채권’(정크본드) 규모는 491억달러로 지난해 13개 기업 채권 규모(528억달러)와 비슷하다.

美회사채 10년 만에 50% 증가

[그래픽 =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9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포인트 기준으로 사상 최대인 2013포인트가 넘게 내렸다. S&P500 지수는 장 초반 7% 넘게 급락해 1997년만에 처음으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기도 했다. 미국 국채 금리는 한때 0.318%까지 하락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유가 폭락이라는 악재가 겹치자 시장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재현하는 것이 아니냐는 공포가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그때와 다른 점이 있다면 당시는 부동산 버블과 이에 따른 주택담보대출의 팽창이 원인이었다면 이번에는 기업부채가 가장 약한 고리로 지목되고 있다는 것이다.

UBS에 따르면 미국 기업 부채는 2009년 이후 10년간 50% 증가해 2019년 말 기준 10조달러(1경1925조원)으로 늘어났다. 저금리가 장기화하며 기업들이 마음껏 돈을 빌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때문이다. 유동성이 넘쳐나자 미국 투자등급 중 가장 하위등급인 BBB 회사채 금리는 2010년 6.3%에서 3.9%로 하락했다.

그러나 금리가 하락했다고 부채의 질이 좋아진 것은 아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글로벌에 따르면 지난해 1월 기준 투자등급 중 가장 하위 등급인 BBB등급 회사채는 3조 2000억달러로 미국 투자등급 채권의 53%를 차지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8000억달러)보다 4배나 많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부터 전문가들은 부채 폭탄을 경고해왔다.

글로벌 투자회사 구겐하임 파트너즈의 투자전문가 스콧 마니너드는 BBB등급 회사채 중 1조달러 가량은 정크본드로 추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모건스탠리 역시 위기가 발생하면 투자등급 채권의 23~45%가 정크본드로 떨어졌다며 만약 금융위기가 재발한다면 약 6000억달러 규모의 BBB 채권이 투기등급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이같은 경고에도 그동안 시장은 꿈쩍도 하지 않았다. 저금리 속 유동성은 넘쳐나는 데 반해 매력적인 투자처가 사라진 상황에서 회사채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보장해주는 투자처였기 때문이다. 기업 역시 금융비용 부담이 가벼워지자 채권을 적극적으로 발행해 자금을 조달한 뒤 자사주를 매입해 주가를 끌어올리거나 인수합병 자금으로 사용해 왔다.

실제 메이시스의 신용등급이 하향조정된 2월 20일에도, 정크본드 대표 상장지수펀드(ETF)인 블랙록의 아이셰어 iBoxx 하이일드 ETF(HYG)는 이날 88.41달러로 5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규모 부양책 예고했지만…

낙관론으로 팽배하던 미국 회사채 시장은 위기가 코앞으로 닥쳐오자 급격히 흔들리는 모습이다. HYG는 9일 전장대비 4.30% 하락한 81.39달로 마감해 1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때는 80.2달러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이번 석유전쟁의 가장 큰 피해자로 지목되는 미국 셰일오일 회사들의 부채 규모 역시 만만치 않다. 리스타트에너지리서치에 따르면 40개 셰일오일 회사들이 올해부터 향후 7년간 갚아야 할 부채는 무려 710억달러에 달한다.

이들 기업이 빚을 갚지 못할 경우, 금융기관으로까지 그 여파가 미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대출의 18.1%가 에너지 관련 기업인 BOK파이낸셜은 주가가 이날 25.53% 떨어졌다. 이 회사는 에너지 관련 대출 금액이 자본금보다 많다. JP모건과 씨티은행도 에너지관련 대출이 자본금의 7~15%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증시를 덮친 블랙먼데이에 놀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감세를 비롯한 대규모 부양책을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코로나19 태스크포스 정례 기자회견에서 “미국 대중과 경제를 돌볼 것이며 돌봐왔다”며 “우리는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 등을 만나 급여세(payroll tax)를 인하하거나 실질적으로 감면하는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감세안은 10일 오후(한국시간 11일 오전)에 발표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대규모 부양책과 금리 인하와 같은 유동성 공급만으로 과연 이 위기를 넘을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모함마드 엘 에리언 알리안츠 수석경제 고문은 파이낸셜타임즈 기고문에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은행과 은행 간 결제·지불 시스템 마비에 따른 신용경색이었다면 이번 사태는 수요와 공급을 동시에 파괴하는 실물경제의 위기라며 “부풀어 오른 자산가격이 펀더멘탈에 맞춰서 하락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선진국 중 기준금리가 가장 높은 미국마저 기준금리가 1%인 상황에서 더이상 중앙은행이 유동성이 공급하는 것만으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며 “정부는 지속가능한 경제를 만들기 위해 진정한 개혁에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백종원 "워따, 대박이네"
  • "노병은 돌아온다"
  • '완벽 몸매'
  • 바이든, 아기를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