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요즘 서점에 가면 중국 관련 책들이 무수히 쏟아진다. 중국이 미국과 함께 주요 2개국(G2)으로 부상하면서 중국을 알고자 하는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을 바라보는 시각들이 서로 다르다. 자칫 자신이 보고 듣고 느낀 중국이 중국의 전체인 것처럼 생각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중국 면적은 한국보다 약 96배, 인구는 약 27배 많다. G2의 위력도 지녔지만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5000달러(약 560만원)를 갓 넘어 우리의 4분의 1 수준이다. 그 만큼 빈부격차도 심해 1선 도시와 2·3선 도시의 모습이 다르다. 중국은 현재 도시화율도 50%에 머물고 있어 도시가 아닌 농어촌 지역으로 가면 더욱 차이가 난다. 중국에서 20여년간 생활했다는 교민들조차 “중국은 살면 살수록 잘 모르겠다”는 말이 절로 나올 정도다.
이같은 상황은 중국 노동시장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최근 사회보장비 등을 포함한 중국 인건비가 경제성장과 위안화 절상 등으로 지난 3년간 60% 넘게 올라 아시아 신흥국 가운데 최고 수준이 됐다고 전했다. 특히 동부 연안도시들을 중심으로 인건비가 계속 올라 많은 기업들이 서부 내륙으로 이동하거나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전하고 있다고 한다. 그만큼 중국 노동시장이 성장했다는 방증이다.
장쑤성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C씨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인근 중국 사업장 대표들이 찾아와 “너희는 왜 근로자에게 점심식사를 무료로 제공하느냐. 밥 값을 받아라”고 따지더란다. C씨도 결국 “우리는 중국법을 어긴게 없으니 돌아가라”며 실랑이를 벌인 뒤 한참만에 사태를 수습했다고 한다.
올해는 한·중 수교 21주년을 맞는다. 양국은 무역량이 급증했고 인적교류도 활발해졌다. 한국내 지방자치단체 중 중국과 자매결연이 안된 곳이 없다고 할 만큼 지자체 활동도 다양하다. 베이징과 상하이는 지자체장을 비롯한 주요 인사들의 단골 방문코스가 됐을 정도다. 그 만큼 중국을 잘 안다고 말하는 이들도 늘었다. 하지만 우리는 알고 있는 중국이 얼마나 정확한 현실인지, 그 속내는 무엇인지에 대해 한번 쯤 자문해 볼 때가 아닌가 싶다.
▶ 관련기사 ◀ ☞ [특파원리포트] 노후화된 인프라의 저주 ☞ [특파원리포트]일확천금을 쫓는 사람들 ☞ [특파원리포트]주총을 축제로 바꾼 힘 ☞ [특파원리포트]도 넘은 中식품안전 불감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