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반도체·전기차 지배해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보도한 레이먼도 장관과 인터뷰를 보면, 레이먼도 장관은 지난 6월 신규 공장 투자처를 찾던 대만 글로벌 웨이퍼스의 도리스 수 최고경영자(CEO)와 1시간가량 통화하면서 미국 투자를 이끌어냈다.
글로벌 웨이퍼스는 당초 50억달러(약 6조9000억원) 규모로 독일에서 공장을 지으려다가 포기했고, 2월부터 대체 부지를 물색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투자 비용이 미국 대비 3분의1에 불과한 한국이 유력 투자처로 떠올랐다고 WSJ는 전했다. 이에 레이먼도 장관은 ‘한국에 공장을 짓겠다’는 수 CEO와 직접 통화를 하면서 “계산을 한 번 해보자”며 설득했다. 당시 미국 정부는 반도체 지원법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미국 내 투자에서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두 인사위 통화 이후 2주 뒤 글로벌 웨이퍼스는 텍사스주 셔먼에 최대 50억달러를 투자해 웨이퍼 생산공장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레이먼도 장관은 WSJ에게 “미국이 핵심 광물,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특정 기술 분야를 지배할 필요가 있다”며 “중국과 경쟁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은 미국에서의 투자”라고 말했다.
|
“기업인들에게 듣는 게 나의 일”
WSJ에 따르면 레이먼도 장관은 52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 지원법을 의회에서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물밑에서 역할을 했다. 반도체 지원법이 의회 논의 과정에서 난관에 직면하자, 트럼프 전 행정부 인사들과 접촉해 초당적인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것이다.
대(對)러시아 규제 역시 마찬가지다. 레이먼도 장관은 우호국들과 함께 러시아에 대한 반도체, 통신장비 등 수출을 차단하는 수출 통제를 주도했다.
WSJ는 “레이먼도 장관이 이끄는 상무부는 중국의 지정학적인 야심과 러시아의 침공에 맞서 싸우려는 바이든 행정부의 노력에서 운전자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레이먼도 장관은 아울러 빅테크 해체론을 주장하는 좌파 거물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이 자신을 두고 ‘빅테크와 너무 가깝다’고 비판한 데 대해서는 “나는 상무장관”이라며 “기업인들과 함께 일하고 기업인들로부터 듣고, 민간 부문과 협력하는 게 나의 일”이라고 강조했다. 워런 의원은 최근 서한에서 상무부 안에 전직 빅테크 간부들이 있다는 점을 들어 “빅테크 회전문 인사의 증거”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