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부담을 덜어준다는 측면에서 환영할 일이지만 이번 합의는 진정성을 찾기 어렵다. 선거를 앞두고 민심 만회를 위한 노림수 성격이 짙다는 점에서 우선 그렇다. 이 후보는 경기지사 시절 “공시가격 제도가 시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불공평 과세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공시가를 높여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종부세보다 훨씬 센 국토보유세 도입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런 그가 공시가격이 68가지 민생제도에 영향을 미친다며 속도 조절을 주장했고, 당은 물론 꿈쩍 않던 정부도 이에 응답한 것이다. 전형적인 표 낚기용 정책 뒤집기다.
여론 조사에서 지지를 유보한다는 응답이 계속 늘어나면서 이번 대선은 역대급 비호감 선거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새 지도자를 뽑는 축제가 냉소와 체념으로 가득찬 정치 행사로 전락할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정부·여당은 물론 야당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 후보들은 의혹의 사실 관계를 명확히 밝히고 국민 앞에 서야 한다. 정부는 매표용 선심성 정책과 세금 퍼붓기를 멈춰야 한다. 이대로라면 내년 대선은 아물기 어려운 후유증과 오명을 가득 남기고 끝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