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씨는 “암환자들은 이상한 제품에 현혹되기 쉽고 위험성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상담 없이 개인적으로 ‘다른 사람이 좋아졌다면 나도 좋아진다’고 생각하고 복용하기 쉽다”며 “전문적으로 상담해주는 의사가 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김씨는 건강상 녹화 영상으로 참여했다.
앞서 김씨는 개 구충제 복용 후 염증 수치가 내려가는 등 호전 중이라고 밝혀 주목받았다. 그는 현재 폐암 4기로 투병 중이다.
김씨는 해외 유튜브 영상을 중심으로 퍼진 개 구충제가 암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설에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시도했다. 그의 도전에 많은 이들이 희망을 걸고 응원했다. 또 약국마다 동날 정도로 구충제 판매량이 뛰었다. 그러나 지난달 그는 결국 실패했고 효과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구충제, 선인장, 대나무...‘환자들의 지푸라기’ 대체요법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펜벤다졸의 경우도 정부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했지만 이걸 복용하는 환자들에 대한 관리를 소홀히 했던 것도 사실”이라며 “복용, 부작용, 판단이 모두 환자들의 몫이었다”라고 문제를 지적했다.
또 “미국은 국립보건연구원 산하에 대체의학 연구 센터가 있어 환자들을 위한 치료법 근거 마련과 가이드라인을 준비하고 있다”며 “대체요법을 제도권 안으로 들여와 실태조사를 하고 근거 수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사이비 의료와 구분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
얼마 전 신 의원은 암 환자들 사이에 개 구충제 복용 열풍이 일었던 2019년 이후 동물용·인체용 구충제의 판매가 급증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신 의원은 “암뿐만 아니라 비염, 당뇨 환자들도 구충제를 복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확한 의학적 정보전달 및 올바른 약물 이용에 대한 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암환자들의 대체요법에 대한 제도권 관리체계 구축도 시급하다”고 했다.
암 환우들은 병원에서도 손 쓸 도리가 없는 상태에서 마지막 버틸 힘을 얻기 위해 대체요법을 알아보는 실정이다. 이에 무조건 ‘대체요법은 효과 없다, 하면 안된다’라는 말보다는 효과와 부작용을 연구를 통해 검증해달라는 요구가 꾸준히 나온다.
대표적으로 작년부터 거센 구충제 열풍이 불었지만 올해 초 국립암센터는 임상시험 추진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암센터는 검토 결과 구충제가 항암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근거가 없고 안정성도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윤리적·과학적으로 임상시험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흥태 국립암센터 임상시험센터장은 “암 투병 환자들의 절박한 마음을 이해못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그분들의 마음을 알기에 임상시험 여부를 검토한 것”이라고 다독였다. 하지만 환자들 입장에서는 여전히 아쉬움만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