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공무원 대이동이 시작된다. 지난 2005년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해 마련된 중앙행정기관 이전 계획에 따라 2014년까지 총리실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등 16개 중앙행정기관, 20개 소속기관, 16개 출연연구기관이 충남 연기ㆍ공주, 충북 청원 일부가 편입된 세종자치시로 내려간다. 이동하는 공무원 수만 해도 1만3000여명에 달한다.
세종시 전체 면적 465㎢ 가운데 73㎢ 규모의 도시 개발 예정 지역이 낙후된 농촌 지역에서 행정 기관, 아파트 단지, 편의 시설 등을 갖춘 신도시로 변모한다. 2030년까지 정부와 공공·민간 기업 등이 이 프로젝트에 총 22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국내에서 이 정도 규모의 자본을 투입해 도시를 새로 만든 것은 사상 처음이다.
허허벌판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것은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다. 특히 각종 시설 건설부터 정책, 행정 등 민감하고 다양한 이슈를 조정하고 협의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임무를 총괄하고 진두지휘하는 인물이 바로 김정민(55) 국무총리실 세종특별자치시 지원단장이다. 10일 서울 종로구 사직로 정부중앙청사 사무실에서 김 단장을 만났다.
세종시는 최첨단 기술과 문화ㆍ복지가 어우러진 친환경 행정 중심 복합 도시가 목표다. 2014년까지는 중앙 부처와 소속 공무원들의 이전, 이후 2030년까지 자급자족 기능을 갖춘 인구 50만 규모의 도시로 발돋움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연말까지 국무총리실을 비롯해 기재부, 국토부 등 6개 부처와 소속기관 4139명이 세종시로 내려간다. 내년에는 교과부, 지경부, 문광부 등 6개 부처 12개 소속 기관 4116명, 2014년에는 법제처, 국세청, 권익위 등 4개 부처 2개 소속 기관 2197명이 세종시로 옮긴다.
“이전을 준비하는 공무원들은 세종시가 살기 좋은 도시가 될지 기대반 우려반이죠. 그들이 최소한 거주에 불편함이 없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작년 상반기만 해도 세종시 이전에 대해 혼란이 많았지만 구체적인 이전 일정이 나오고 건설사들이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현재 공무원 6500세대가 아파트 분양을 완료했습니다.”
주민들이 편하게 살 수 있는 환경 조성과 함께 또 다른 고민도 있다. 세종시가 생산과 수요 활동 등 자급자족 도시로 제대로 된 기능을 하려면 충분한 인구가 있어야 한다.
2030년까지 인구 50만명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서울에서 이전하는 공무원들로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25명 이내의 소규모 교실에 전자 칠판, 개인용 스마트패드 등 최첨단 교육 환경과 선진 교육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생활권별 문화ㆍ복지 프로그램과 연계해 다양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면 사교육비 부담도 덜 수 있죠. 카이스트와 해외 대학을 유치해 글로벌 인재 양성에도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세종시는 국제과학 비즈니스벨트 내 거점 지구인 대전 대덕구를 뒷받침하는 기능 지구로 선정됐다. 물리학과 화학 등 기초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할 정도의 성과를 낼 수 있는 연구 환경을 갖출 계획이다. 이미 세계 과학계의 많은 연구자들이 세종시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김 단장은 세종시의 미래를 이렇게 꿈꿨다. “세종시는 끊임없이 진화하고 성장하는 도시입니다. 행정 기능과 더불어 교육·문화·관광 산업이 어우러진 새로운 도시, 모두가 살고 싶어하는 도시로 만들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해외가 벤치마킹하고 나아가 한국이 해외에 수출할 수 있는 하나의 도시 모델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김정민 국무총리실 세종특별자치시 지원단장은 1957년 대구에서 태어나 성균관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행정학 석사, 미국 뉴욕주립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행시 24회로 공직에 입문해 기획예산처 총무과장, 교육인적자원부 기반구축 지원관,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조정기획관, 기획재정부 디지털예산회계기획단장, 기획재정부 재정관리 협력관 등을 역임했다. 세계은행에서 공공정책관으로 근무하며 경험을 쌓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