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옛날 그곳엔 정말 토끼가 살았을까…

'같은 소재, 다른 결말' 토끼전 품은
충남 태안 원청리·경남 사천 비토섬
삼국시대부터 전해오는 '쿠토설화'
권력층 무능함 비꼰 풍자·해학 담겨
원청리 곳곳엔 토끼와 자라의 흔적
비토섬 비극적 결말 토끼전 전해져
  • 등록 2023-01-27 오전 12:00:01

    수정 2023-01-27 오전 9:52:20

[이데일리 이선우 기자] 계묘년의 상징 동물은 토끼다. 예부터 토끼는 신성한 존재였다. 달 속에 산다고 해 영험한 존재인 ‘달의 정령’(精靈)이라 불렀다. 달 속에 토끼가 살고 있다는 믿음에 달을 토월(兎月)이라고도 했다. 고대 중국 도교에선 달에 사는 토끼를 불로불사의 영약을 만들기 위해 방아를 찧는 옥토끼라 했고, 불교에선 고기를 먹고 싶어하는 천체를 위해 불 속에 자신의 몸을 던져 보살행을 행한 존재로 여겼다.

통일신라의 귀족들은 달에 사는 토끼처럼 아무 근심 없는 평온한 삶을 살고 싶은 바람을 담아 대저택의 수막새에 토끼 형상을 새겨 넣기도 했다. 조선시대엔 왕비의 침천인 창덕궁 대조전과 경복궁 교태전 뒤뜰에 토끼 형상을 새겨 평안과 장수를 기원하기도 했다.

중국 역사서 사기와 한서는 이러한 토끼의 성정을 ‘무성하고 우거지다’라고 서술하고 있다. 이유가 있다. 토끼는 한달 임신기간에 5~6마리씩, 일년 내내 번식이 가능해서다. 산술적으로 한해 최대 60~70마리까지 출산이 가능하다. 토끼를 두고 다산다복의 상징이라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가장 오래된 한자사전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선 ‘토끼 묘(卯)’자를 겨우내 언 땅이 녹는 2월 만물이 문을 열듯 땅을 뚫고 나오는 형상을 본뜬 글자라고 설명한다.
영검하고 영특한 토끼의 기질을 엿볼 수 있는 고전 우화소설 ‘토끼전’의 발원지로 알려진 충남 태안군 남면 원청리 별주부마을의 ‘자라바위’ 앞 토끼와 자라 석상. (사진=태안군청)
토끼전에 담긴 ‘시대불변’ 풍자와 해학

토끼의 영검하고 영특한 기질은 고전 우화소설 ‘토끼전(별주부전)’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용왕의 병 치료를 위해 토끼 간을 구하러 육지로 나온 자라(별주부)에게 속아 용궁으로 붙들려간 토끼가 기지를 발휘해 목숨을 부지하는 내용의 토끼전이 기록된 첫 문헌은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이다. 신라 선덕여왕 11년 고구려와 동맹을 맺기 위해 사신으로 갔다 억류된 김춘추가 ‘구토지설’(龜兎之說)에 등장하는 토끼의 꾀를 발휘해 무사히 돌아왔다는 이야기다.

꾀 많은 토끼와 세상 물정 모르는 순진한 자라의 이야기는 판소리(수궁가·토별가·토끼타령·별주부타령), 소설(토끼전·별주부전·토생원·구토지설) 등 다양한 형태로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야기의 큰 줄기는 변하지 않았지만 시기와 지역에 따라 영약인 토끼의 간이 필요한 인물은 심장병을 앓는 용왕의 딸에서 주색에 빠져 불치병을 얻은 용왕으로 바뀌고 이야기 무대도 동해에서 서해, 남해로 다양해졌다. 최근엔 유튜브 조회수 5억 뷰를 넘긴 한국관광 홍보영상 필 더 리듬 오브 코리아 ‘범 내려온다’편을 부른 퓨전 국악밴드 이날치가 ‘별주부가 울며 여짜오되’가 수록된 앨범 ‘수궁가’를 발매하기도 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구전설화에는 날카로운 풍자와 익살스러운 해학이 깔려 있다. 긴 세월 민초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토끼전 역시 그렇다. 용왕과 별주부 등 수궁대신은 부패하고 무능한 정치 지배 관료층 그리고 이들을 골탕먹이는 토끼는 피지배층인 농민, 서민의 모습이 투영돼 있다. 토끼전은 불공정, 불공평이 당연시되던 신분계급 사회에서 민중들의 꽉 막힌 답답한 속을 시원하게 뚫어주는 통쾌한 복수극이었던 셈이다.
충남 태안군 남면 원청리 청포대 해변 독살. ‘토끼전’ 발원지로 알려진 원청리는 해안가에 돌로 담을 쌓아 고기를 잡는 전통어업 방식인 독살 체험 명소로 유명하다. (제공=태안군청)
자라가 첫발 내디딘 ‘용새골’… 간 감춰놓은 ‘묘샘’

충남 태안군 남면 원청리와 경남 사천시 서포면 비토리는 토끼전의 발원지임을 자부하는 곳들이다. 마치 꾀쟁이 토끼와 수궁대신 별주부의 ‘밀당’(밀고 당기기)이 실제 벌어진 역사의 현장인 듯 마을 곳곳에 고대 설화의 흔적이 남아있다.

해안가에 돌로 담을 쌓아 고기를 잡는 전통 어업 방식인 독살 체험 명소로 유명한 태안군 원청리는 마을 앞 청포대 해변이 토끼전의 무대였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용왕의 명을 받고 토끼 생간을 구하러 육지에 올라온 자라가 첫발을 내디뎠다는 ‘용새골’, 자라의 꼬임에 넘어간 토끼가 간을 떼어 청산녹수 맑은 샘에 씻어 감춰 놓았다고 한 ‘묘샘’,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진 토끼가 속임수에 넘어간 자라를 놀려댄 후 유유히 사라진 ‘노루미재’, 토끼를 놓친 아쉬움에 탄식하며 용궁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죽었다는 ‘자라바위’ 등 토끼전 스토리가 마을 전체를 무대 삼아 펼쳐져 있다.

마을의 원래 이름인 원청리보다 별칭인 별주부마을로 더 유명한 이곳은 올해 검은 토끼해를 맞아 대대적인 마을 정비에 들어갔다. 마을 중심에 지난 2010년 세워진 전망대 기능의 별주부센터(지하1층·지상9층)는 지난해 12월 내부 리모델링 공사를 시작해 올 4월 재개장한다. 해마다 음력 정월 자라바위 인근에서 토끼의 잘못을 사죄하고 용왕의 건강을 기원하며 지내던 용왕제도 2024년부터 재개를 준비하고 있다.
토끼와 자리가 끝내 목숨을 잃는 비극적인 결말로 끝나는 ‘토끼전’ 전설이 깃든 경남 사천시 서포면 비토리 ‘비토섬’ (사진=사천시청)
용왕 노여움 두려웠던 자라, ‘자라섬’이 되다

사천시 비토섬에 전해지는 토끼전은 보기 드물게 비극적인 결말을 지녔다. 비토섬의 토끼전은 섬 가장 높은 산봉우리인 천황봉에 사는 금실 좋은 토끼 부부 이야기로 시작한다. 어느 날 자라의 감언이설에 넘어간 남편 토끼는 임신한 아내를 두고 용궁까지 따라갔다 “비토섬 월등도 산중턱 바람 잘 통하고 그늘진 계수나무(해송) 가지에 간을 걸어두고 왔다”는 거짓말로 간신히 위기에서 벗어난다. 여기까지만 보면 여느 토끼전과 다를 바 없어 보이지만, 이야기의 반전은 이후부터다.

자라 등에 업혀 용궁을 무사히 빠져나와 비토섬 ‘월등도’에 다다른 토끼는 밝은 달빛에 비친 수면 위 육지로 성급히 뛰어내리다 바닷물에 빠져 죽고 만다. 그렇게 생을 마감한 토끼는 죽어 ‘토끼섬’이 되고 용왕의 노여움이 두려웠던 자라 역시 그 자리에서 생을 마감해 ‘자라섬’이 됐다는 이야기다. 비토섬 토끼전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남편을 용궁으로 떠나보낸 아내 토끼가 돌끝에 서서 매일 남편이 오기만을 목이 빠져라 기다리다 결국 떨어져 죽는다는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 비토리 비토섬과 토끼섬, 자라섬 위로 자혜리 목섬이 바로 아내 토끼가 애절한 망부가를 불렀을 그곳이다.

풍자, 해학보다 애절한 부부의 정이 더 강렬한 토끼전이 전해지는 비토섬은 자라등에서 성급히 뛰어내린 토끼처럼 날아가는 토끼 형상을 닮아 ‘비토’(飛兎)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내륙과 섬을 잇는 연륙교가 놓인 덕에 바다를 거스르는 뱃길이 무색해진 비토섬에선 썰물 때에 맞춰 월등도까지 걸어 들어갈 수 있다. 봄이면 벚꽃이 만개해 절경을 이루는 비토해안길은 사천 8경 중 하나로 유명하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즈나, 혼신의 무대
  • 만화 찢고 나온 미모
  • MAMA 여신
  • 지드래곤 스카프 ‘파워’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