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현지시간)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2.77% 하락한 3만2977.21에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63% 내린 4131.93을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4.17% 떨어진 1만2334.64에 장을 마쳤다. 이외에 중소형주 위주의 러셀 2000 지수는 2.93% 내렸다.
월가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 변동성 지수(VIX)는 11.74% 뛴 33.51을 기록했다. 단박에 30대로 뛰어올랐다.
장 초반부터 약세 압력이 컸다. 전날 장 마감 이후 나온 아마존 실적이 최악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아마존은 올해 1분기 순순실 38억달러를 기록했다. 분기 기준 2015년 이후 첫 7년 만의 첫 적자다. 아마존이 투자한 전기차 업체 리비안의 주가가 올해들어 70% 가까이 급락하면서 76억 달러(약 9조6700억원)의 평가손실이 반영된 탓이다. 아마존은 리비안의 지분을 약 18% 보유하고 있다. 이에 이날 아마존 주가는 무려 14.05% 폭락했다.
애플은 시장 예상을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보였음에도 주가는 3.65% 내렸다. 애플이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 탓에 공급망 제약이 심해졌다고 밝힌 탓이다. 애플와 아마존 주가가 빠지면서 마이크로소프트(-4.18%), 알파벳(구글 모회사·-3.72%), 메타(페이스북 모회사·-2.56%) 주가도 큰 폭 내렸다. 엔비디아의 경우 6.24% 하락했다.
‘역대급’ 인플레이션 우려는 주가에 추가 악재로 작용했다. 이날 오전 나온 올해 3월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6.6% 상승했다. 1982년 1월(6.9%) 이후 40년2개월 만의 최고치다. 1970~80년대 오일쇼크 당시 최악의 인플레이션에 근접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국채금리는 급등했다. 글로벌 장기시장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7bp 이상 뛴 2.936%까지 치솟으며 3%에 근접했다.
플로우뱅크의 에스티 드웩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중국의) 이번 봉쇄가 수주에 접어들면서 인플레이션과 중앙은행들의 강경 대응을 야기하는 공급망 차질 문제로 돌아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국제유가는 소폭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6% 하락한 배럴당 104.6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 하락 압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유럽증시는 일제히 올랐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84%,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0.39% 뛰었다. 영국 런던의 FTSE 100 지수는 0.47%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