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진 순천향대 서울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뇌 이야기를 합니다. 뇌는 1.4 키로그램의 작은 용적이지만 나를 지배하고 완벽한 듯하나 불완전하기도 합니다. 뇌를 전공한 의사의 시각으로, 더 건강해지기 위해, 조금 더 행복한 인생을 살기 위해 어떻게 뇌를 이해해야 하고, 나와 다른 뇌를 가진 타인과의 소통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의학적 근거를 토대로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미있는 이야기들과 함께 탐구해보겠습니다. 일주일 한번 토요일에 찾아뵙습니다.
[조성진 순천향대 부속 서울병원 신경외과 교수] 코비드-19 판데믹 시대에 살면서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이전에는 감염이나 감기로 인해 열이 나는 것이 걱정될 때만 체온은 재는 것이 였는데, 이제는 출입하는 모든 곳에서 체온을 재고 만약 조금이라도 열이 나면 바로 출입정지를 당하니 사람대접을 못 받게 되는 것이 슬픈 현실이다.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우리나라는 섭씨(˚C), 미국은 화씨(˚F)를 사용하고 있다. 섭씨의 유래는 스웨덴의 천문학자인 Celsius가 물이 어는점을 0도, 끓는 점을 100도로 정한 온도 체계이며, 중국 음역어로 ‘섭이수사’로 불리게 되어 ‘섭씨’는 말이 유래되었다. 화씨는 독일의 Fahrenheit의 이름을 딴 온도 단위인데 중국어로 ‘화륜해특’으로 음역되어 ‘화씨’로 불리게 되었으며, 화씨 100도가 섭씨 37.8도에 해당한다.
체온은 신진대사를 나타내는 건강의 지표이며 장수와 신체크기와도 연관이 있다. 1851년 독일의 한 의사는 2만5000명의 사람들을 조사하여 인체의 표준 온도는 섭씨 37도라고 확인하였다. 이것은 현재 평균체온보다 높은 것이다. 이러한 체온의 변화는 측정도구가 변경되어 발생한 것이 아니라면 인간의 체온이 과거보다 더 낮아진 것이라 볼 수 있다. 오늘날의 남성의 체온은 19세기 초반에 태어난 남성보다 0.59˚C 낮아졌고, 여성은 0.32˚C 떨어졌으니 10년 마다 평균 0.03˚C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체온이 과거보다 낮아진 이유는 집안의 온도, 미생물과의 접촉, 우리가 접근할 수 있는 음식 등 주거환경이 바뀐 것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있다. 즉 우리는 생리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또한 우리 몸이 사용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평균대사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 감소는 염증 감소로 인한 것일 수 있다고 한다. 염증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체온을 높이는 모든 종류의 단백질과 사이토카인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집집마다 에어컨과 난방으로 인해 주변 온도가 더 일정해져서 동일한 체온은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를 더 많이 소비할 필요가 없어진 것도 하나의 이유라고 한다.
체온 측정값은 측정한 신체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대장의 마지막 부분인 직장에서의 측정값은 구강 측정값보다 0.5˚C 정도 높게 나오며 겨드랑이 측정값보다 1.0˚C 정도 높게 측정된다. 체온은 나이가 들면서 낮아지며 하루 시간 중 이른 아침에 가장 낮고 오후에 가장 높다. 여성의 경우 월경 주기에 따라 변화한다. 38˚C 이상은 열이 있는 것이고 39.5 ˚C 이상은 고열이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있는 사람들은 체온이 낮은 반면, 암에 걸린 사람들은 체온이 더 높다. 아기의 체온은 체중에 비해 더 큰 체표면적을 가지고 있고, 또한 열을 생성하는 대사 활동이 더 활발하므로 더 높다. 아기의 몸은 성인의 몸처럼 더울 때 땀을 덜 흘리므로 열이 나는 동안 열을 식히는 것이 더 어렵게 된다.
체온은 시상하부라는 뇌 영역에서 조절된다. 37 ˚C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면 시상하부가 온도조절을 시작한다. 몸이 너무 추우면 시상하부가 신호를 보내 몸을 떨게 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며, 너무 뜨거우면 땀을 흘리기 시작하라는 메시지를 보내 열을 몸 밖으로 내보낸다. 38 ˚C 이상 체온이 올라 가게 되면 식욕이 상실되고, 오한, 두통, 짜증, 근육통, 발한, 피곤함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해열제 이외의 체온을 낮추는 방법은 시원한 음료를 마시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며, 시원한 물에 몸을 담그고 손목, 목, 가슴, 관자놀이와 같이 정맥이 표면에 가까운 신체 부위에 냉찜질을 하면 혈액의 온도를 빠르게 낮출 수 있다. 무거운 운동을 피하고 덜 움직이는 게 좋고 옷도 바람이 잘 통하는 면이나 린넨 같은 천연 섬유가 아크릴 이나 나일론 같은 합성 섬유보다 열을 방출하는데 훨씬 좋다고 한다.
코비드 시대에 사람의 체온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체온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남극의 펭귄들도 눈보라가 몰아치면 서로 몸과 몸을 밀착시켜 감싸 안으면서 추위를 이겨낸다. 우리도 서로 따뜻한 가슴으로 감싸 안으며 사회적 추위를 이겨낼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