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 우리 사회가 보험범죄에 쏟아 붓는 사회적 비용이다. 박근혜대통령이 올해 초 ‘비정상의 정상화’를 위한 국정과제 중 하나로 보험범죄 문제를 지적할 정도다. 보험범죄를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지만 얽힌 실타래마냥 풀기 어려운 고질병이 됐다. ▶관련 시리즈 6면
|
보험금을 둘러싼 ‘검은 이해’의 접점 어느 곳에도 감시와 견제의 두려움은 없다. 여기에다 ‘나만 손해 볼 수 없다’는 이기주의가 가세하면서 보험을 둘러싼 모럴해저드는 갈수록 광범위하고 대담해지는 양상이다. 개인의 단독범행이 아닌 일가족 또는 조직폭력배, 전문브로커가 낀 조직적인 범행이 늘었다. 가족간의 살해, 장애인 살해 등 잔혹한 보험범죄도 급증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지난해 상반기 보험사기 적발금액은 2579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보다 15.3%나 늘었다.
이밖에 보험정책을 둘러싸고 부처간 따로 노는 엇박자는 구태를 넘어서 보험산업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로 지적된다. 이 때문에 청와대 직속기구처럼 부처를 뛰어넘는 강력한 ‘컨트롤타워’가 마련돼야 한다는 얘기가 공공연하게 나온다.
정세창 홍익대 경영학과 교수는 “과거 10여 년 동안 한국 보험산업은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뤘지만 관련 규제들을 정비하기에는 시간과 경험치가 미숙했다”며 “현재 과도한 규제들이 존재하고 있고 이러한 규제들이 보험산업발전을 좀먹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