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재계 의견을 모아 공정위에 전달한 바 있다. 의결서 늑장 송달을 두고 공정위가 기업들을 난처하게 하려는 일종의 ‘갑질’, ‘고의 지연 행위’로 보는 시각도 있다. 공정위는 억울해 한다. 송달 기간을 단축하려 해도 인력·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지체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
공정위 관계자는 “전원회의 심결이 끝나면 심사보고서를 파악하고 위원들 의견을 정리해 의결서 초안을 써야 하는데, 책상에 놓인 서류만 원본과 첨부 자료를 합쳐 1만 페이지에 달할 때도 있다”면서 “그렇다고 의결서 작성에만 집중할 수도 없다. 다른 사건의 심의를 앞뒀다면 본업인 주심을 보좌하는 역할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다보니 의결서는 마감 기한을 놓치는 일이 많다”고 털어놨다.
공정위 출신의 전직 관료 A씨는 “공정위 사건 판결의 경우 법원의 민·형사 사건보다 복잡한 경우가 많아 의결서 작성에만 집중해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며 “사회적으로 큰 쟁점이 됐던 사건의 경우 더 많은 전문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의결서 작성을 맡길 만한 인력 자체도 적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올해 1~7월 공정위가 송달한 의결서를 전수조사한 결과 가맹택시 콜(호출) 몰아주기 의혹으로 271억원의 과징금 제재를 받은 카카오모빌리티는 심의종결 후 의결서 송달까지 119일이 소요됐다. 거짓·과장 광고 혐의로 과징금 28억원을 부과받은 테슬라도 심의종결 후 의결서 송달까지 114일이 걸렸다.
이밖에 △이동통신 3사의 통신서비스 속도 관련 부당 광고행위 제재(68일) △대한변호사협회 및 서울지방변호사회의 소속 변호사들에 대한 광고제한행위 제재(49일) △중장비용 카메라 업체의 기술유용행위 제재(52일) △입점업체에 가격할인 쿠폰으로 갑질한 G마켓 및 갑질을 요구한 오진상사 제재(48일) 등이 의결서 송달이 늦었다.
상황이 이렇자 피심인 방어권 보장을 위해 법원 선고 격인 공정위의 언론 브리핑·보도자료 배포 시점을 의결서 작성·송달 시점과 맞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해외 주요국의 경쟁당국도 의결서 작성 후 언론 브리핑을 진행한다. 이와 함께 공정위의
|
국회 관계자는 “공정거래법이 의결을 의결서로 하도록 한 취지는 기본적으로 피심인 방어권 보장에 있다”며 “언론 브리핑, 보도자료 배포는 법적 효력이 없어 피심인인 기업이 불복할 수 없고 의결서를 송달받기까지 불안정한 상태에 놓인다. 의결서 송달과 언론 보도 시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황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법원도 처음에는 판결 주문만 먼저 선고하고 나중에 판결문을 작성했는데, 인력과 시간이 부족이 원인이었다. 공정위도 같은 이유일 것”이라며 “공정위도 의결서를 갖춘 후 브리핑을 하는 것이 원칙인데 인력 등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