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클라리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부의장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이데일리와 전화로 진행한 단독 인터뷰에서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재정적자가 크게 증가했다”며 이렇게 우려했다. 지난해 1월 연준에서 퇴임한 클라리다 전 부의장은 재무부 차관보, 백악관 선임이코노미스트 등을 지낸 빅샷이다. 세계 최대 채권운용사인 핌코에서도 10년 넘게 일했고, 현재 핌코로 다시 돌아와 월가를 누비고 있다.
|
미국 예산관리국(OMB)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현재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은 120.2%다.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2분기 때는 역대 최고인 134.8%까지 치솟았다. 5년 전인 2017년 4분기(103.0%) 대비 급등한 수치다. 한국 역시 예외는 아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해 말 한국의 GDP 대비 일반정부 채무(D2) 비율을 54.3%로 추산했다. 2018년(40.0%)과 비교해 큰 폭 상승했다.
그는 아울러 초미의 관심사인 연준의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두고서는 “상당히 아슬아슬한 상황”이라며 “일시적으로 인상을 멈출 것 같다”고 했다. 클라리다 전 부의장은 다만 동결 기조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9월까지 한 차례 추가 인상을 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그는 연준 재임 시절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로 불렸다. 그런 만큼 이런 전망은 다소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