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년간 바라본 국내 자본시장에서의 경험이 동남아 투자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와 비교해 여전히 수익 밴드(구간)가 열려 있는 동남아 시장 규모와 인구도 매력적인 요소로 꼽힌다. 무엇보다 국경 간 비즈니스 진출 장벽이 높은 동북아시아 시장과 달리 ‘한번 터지면 동남아 전 지역으로 퍼질 수 있다’는 확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
2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국내 자본의 동남아 시장 공략이 만개한 모습이다. 3분기(7~9월)로만 범위를 좁히면 국내 PEF 운용사인 스틱인베스트먼트(스틱)가 지난 15일 동남아시아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인 ‘캐로셀’(Carousell)에 1억 달러(약 1170억원)를 투자했다. 국내에서는 스틱에 앞서 지난해 9월 네이버(035420)가 캐로셀에 투자하기도 했다.
2013년 설립해 싱가포르에 본사가 있는 캐로셀은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 6개 국가와 대만 및 홍콩에서 중고 제품(패션·명품·전자제품 등)과 중고차, 부동산 등의 서비스를 하고 있다. 월 활성 사용자만 4000만명에 육박했고 동남아 지역에서 페이스북과 이베이 등 글로벌 이커머스(전자상거래) 플랫폼 대비 높은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다는 게 스틱 측 설명이다.
지난 7월에는 인도네시아의 ‘마켓컬리’로 불리는 신선식품 배달 서비스인 해피프레시에 네이버와 미래에셋, 스틱, LB인베스트먼트, 라인벤처스 등 국내 전략적·재무적 투자자가 약 3300만달러(380억원)의 투자 참여를 결정하기도 했다.
최근 크린토피아를 인수한 PEF 운용사인 JKL파트너스는 동남아 시장에서 ‘국민토너’로 꼽히는 국내 브랜드인 ‘페렌벨(Perenne bell)’ 인수를 논의 중으로 알려졌다. 수의계약(프라이빗 딜)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데 협상이 예상대로 진행할 경우 연내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동남아 현지 기업 직접 투자 형태는 아니지만 동남아 지역에서의 두드러진 성장세를 고려한 결정이라는 관측이다.
인구·주변국 진출 등 확장성에 ‘강점’
국내 자본이 동남아 투자에 나선 이유는 크게 몇 가지로 추려볼 수 있다. 여전히 국내 자본시장이 확장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동시에 이뤄지면서 기업 가치가 덩달아 뛰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투자와 회수 구간에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줄고 있다는 위기감이 도사리고 있다.
국내 투자자들이 또 주목하는 점은 이들 기업의 ‘확장성’이다. 동남아시아 지역의 정세나 정서적 측면을 고려할 때 인접국가에 비즈니스를 펼칠 수 있는 확장성의 여지가 크다.
실제로 국내 자본이 투자를 결정한 이들 기업들 모두 최소 3~4개 국가에 동시에 진출하면서 사업 확장성 측면에서 합격점을 받고 있다. 국경간 비즈니스 진출 장벽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북아 시장과 비교해 가파른 성장곡선을 유지하는 데 용이한 구조라는 게 업계 평가다.
최근 중국 시장을 둘러싼 리스크가 동남아시아 투자로 쏠리는 데 한몫했다는 평도 있다. 알리바바와 디디추싱, 텐센트 등 중국 기업에 대한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를 비롯해 최근에는 중국 헝다그룹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이슈까지 더해지자 현 시점은 적기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여전히 중국 투자에 대한 가능성은 살아 있다고 본다”면서도 “현재 시점이 적극적으로 나서기엔 녹록지 않다 보니 차선책을 찾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는 상황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