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흥국 중앙은행에서는 기준금리를 내리거나 인하를 예고하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특히 전세계 중앙은행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내에서도 경기침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무역전쟁 美 경제도 타격
미국이 일으킨 무역 전쟁에 미국 경제도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자 연준의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압박도 커지고 있다.
‘연준 2인자’인 리처드 클라리다 부의장은 30일 한 행사에서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 변화가 미국 경제에 심각한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경우 리스크 매니지먼트 차원에서 금리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
모건스탠리는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0%에서 0.6%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주 JP모건은 2.25%던 전망치를 1%로 대폭 내려 잡았다. 애틀란타 연방준비은행의 전망치 역시 1.3%에 머물러 있다. 2분기 미국의 성장률이 부진할 것임을 예고하는 숫자들이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 총재는 “금리 인하는 우리 시장과 경제의 불확실성을 추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흥국 중앙은행 잇따라 금리 인하
신흥국 중앙은행을 중심으로 기준금리를 내리거나 향후 인하를 예고하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지만 한은은 요지부동이다.
블룸버그 집계와 각국 중앙은행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인도, 우크라이나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린 데 이어 5월엔 뉴질랜드와 말레이시아, 필리핀, 아이슬란드, 스리랑카가 차례로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호주도 아직은 역대 최저인 1.50%를 유지하고 있지만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조동철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지난달 31일 금통위에서 3년만에 ‘인하’ 소수의견을 내면서 지난해 11월 금리인상 이후 이어진 만장일치 금리 동결 기조에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주열 한은 총재는 “소수의견은 말 그대로 소수의견이다. 소수의견을 금통위 시그널이라고 보는 것은 무리다. 지금은 금리 인하로 대응할 상황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금리인하는 시기상조’라는 판단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한은이 미중 무역정쟁이 극적으로 타협점을 찾거나 반도체 경기가 회복하면 하반기 경기회복이 빠르게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