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중국의 관계가 갈수록 악화되면서 갈등이 노골적으로 표출되고 있다. 북·중 관계는 지난해 말 북한의 2인자로서 중국통이던 장성택 처형 이후부터 급속히 냉각돼 왔다. 최근에는 북한과 중국이 서로 우호협력상호조약 기념일을 모른 체하고 지나가기도 했다. 1961년 7월 11일 체결된 이 조약은 양국 간에 맺어진 가장 중요한 협정이다. 상대국이 제3국으로부터 군사 공격을 받을 경우 전쟁에 자동 개입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북한은 매년 조약체결 기념일이면 중국과 혈맹이라는 점을 대대적으로 선전해 왔지만 올해는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이 조약체결 기념일에 관련 논설을 게재하지 않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도 이에 대해 전혀 보도하지 않았다. 중국의 대북 원유수출이 올들어 지난 6월까지 전무한 것도 관계 악화의 뚜렷한 증거로 꼽힌다.
더욱 주목되는 것은 북한이 최근 국방위 담화를 통해 유엔 안보리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를 규탄한 언론성명에 찬성한 중국을 ‘줏대 없는 나라’라고 대놓고 비꼬았다는 사실이다. 지난 번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방한을 앞두고 중국을 ‘대국주의자’라고 비판한 것보다 훨씬 수위가 높다.
북한에 대한 중국의 입장도 냉랭하기는 마찬가지다. 북한이 최근 러시아와 일본에 손을 내미는 모습이 달갑지는 않을 것이다. 중국의 일부 학자들은 “북한을 포기해야 한다”는 말까지 하고 있다. 인터넷에 유포되고 있는 ‘김정은 조롱 동영상’을 삭제해 달라는 북한의 요청을 중국이 모르는 척했다는 소문도 들려온다.
우리로선 이런 상황을 기회로 삼아 중국이 대북 정책을 근본적으로 바꾸도록 적극 설득할 필요가 있다. 북한이 핵 포기는 물론 개혁·개방을 추진하도록 압박해 줄 것을 중국에 주문해야 한다. ‘통일 한국’이 중국 국익에 반하지 않고, 한반도 평화에 도움이 될 것이란 점을 강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