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송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시간 날 때마다 강조하는 말이다. 100조원대 부실의 늪에 빠진 LH가 당면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특히 과거 외환위기 때 비상경영대책의 일환으로 실시했던 전사적 `1인 1필지(1채) 판매`는 물론 토지수익연계채권 발행도 다시 부활시켰다. 그 만큼 상황이 급박하다는 얘기다.
◇ 줄잇는 재무개선 타개책
23일 LH에 따르면 다음 달 중 발행할 토지수익연계채권 발행 규모는 최대 4조원이다. LH가 토지수익연계채권 카드를 꺼낸 것은 최근 겪고 있는 자금난을 해소키 위해서다.
연계채권을 발행하면 팔리지 않는 땅을 유동화 할 수 있고 일반채권 발행 때보다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LH는 연계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을 보금자리주택사업, 경제자유구역사업 등 국책사업 재원으로 우선 활용키로 했다. LH는 현재 5조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으며 올해 말까지 채권 발행으로 10조원 이상을 조달할 계획이다.
LH는 또 전 임직원(6800여명)이 1필지 이상의 토지와 1채 이상의 주택을 판매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이 방안은 지난 외환위기 때 `비상경영대책`의 일환으로 사업축소와 지출 최소화, 원감절감 등과 함께 전사적 `1인1필지(토공), 1인1채(주공) 판매`에 나선 것과 유사하다.
◇ 자구책 효과 `미지수`
그러나 이런 다양한 자구책 마련을 통해 재무위기를 돌파할지는 미지수다.
실제로 LH는 옛 주택공사 사옥(감정가 4000여억원) 등 전국 10개 잉여 사옥을 매물로 내놨지만 얼어붙은 부동산시장의 영향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또 올해 토지와 주택 등 31조원의 재고자산을 매각할 계획이지만 하반기에도 부동산 침체 국면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 차질이 불가피하다. LH가 상반기 공동주택용지와 단독주택용지, 일반상업용지 등으로 내놓은 토지 물량(333필지)가운데 실제 매각된 토지는 전체의 25% 수준인 80여 필지에 불과했다. 공공분양으로 수도권과 지방에 2169가구를 공급했지만 대거 미달사태를 빚었다.
채권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통합후 대규모 부채를 떠안은 LH의 재무건전성 악화를 우려해 채권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쉽지 않을 것이란 얘기다. LH는 주민들의 반발을 감수하면서까지 신규 택지개발사업의 땅값 보상을 현금대신 채권으로 하겠다는 방안도 제시했지만 현금을 요구하는 주민들과 큰 갈등을 빚고 있다.
전문가들은 LH가 부실을 줄이려면 정부의 정책지원과 함께 방대한 사업규모를 대폭 축소, 보금자리주택 등 핵심 사업에 집중해야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