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1961년 10월 30일. 소비에트 연방 노바야제믈랴제도에서 인류 역사상 최악의 무기 ‘차르봄바’의 위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 열렸다. 차르봄바는 황제를 뜻하는 ‘차르’와 폭탄을 뜻하는 ‘봄바’가 합쳐진 이름으로, 당시 미국과 군사 경쟁을 벌이던 소련이 만들어낸 수소폭탄이었다.
|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이 창립 75주년을 맞아 공개한 ‘차르 봄바’ 실험 장면. (사진=유튜브 캡처) |
|
차르봄바의 위력은 상상을 초월했다. 폭발력은 50메가톤(Mt)으로, TNT 5000만톤(t)이 한꺼번에 터지는 것과 맞먹는다. 실제 폭탄의 크기는 길이 8m, 지름 2m로, 폭탄을 투하할 때 사용한 낙하산의 무게만 800㎏에 달했다. 이렇게 큰 낙하산을 달아 떨어트린 이유는 폭탄의 위력이 너무 강력해, 수송기가 폭탄을 투하한 후 최대한 멀리 도망치기 위해서였다.
차르봄바는 고도 10.5㎞에서 투하되어 천천히 하강해 고도 4.2㎞ 지점에서 폭발했다. 폭발이 일어날 당시 화구의 크기는 지름 8㎞로, 무려 100㎞ 바깥의 사람들도 3도 화상을 입을 정도였다. 폭발 후 버섯구름은 에베레스트 높이의 7배인 67㎞ 상공까지 솟아올랐고, 폭발로 인한 충격파로 1000㎞ 밖에 떨어진 핀란드의 유리창이 깨졌다.
| 로사톰이 공개한 차르봄바 개발 모습. (사진=유튜브 캡처) |
|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원자폭탄의 아버지’ 오펜하이머는 이러한 수소폭탄의 위험성을 알고 수소폭탄 개발을 극렬히 반대했다고 한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트린 원자폭탄으로 태평양 전쟁을 단번에 끝낸 오펜하이머는 미국에서 ‘영웅’으로 추대받았지만, 이 수소폭탄을 반대한 탓에 ‘소련 스파이’로 몰리는 불명예를 안기도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차르봄바 개발 이전에 소련의 수소폭탄 개발을 주도한 과학자도 오펜하이머와 비슷한 길을 걸었다. 소련의 핵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의 이야기다. 사하로프는 소련 최초의 수소폭탄 ‘RDS-6s’를 만들어냈고, 이후 8년 뒤 차르봄바가 개발됐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사하로프는 사회주의노력영웅 훈장을 3번 받고 스탈린상, 레닌상, 레닌 훈장까지 받았다. 사하로프는 ‘수소폭탄의 아버지’로 불렸으며, 그 자신도 개발 초기에는 ‘더 강력한 무기’를 만들기 위해 몰두했다고 한다.
그러나 사하로프 역시 곧 수소폭탄의 살상력에 대한 죄책감에 시달렸다. 사하로프는 1958년 소련이 핵실험을 중단해야 한다는 특별탄원서를 제출했고, 핵실험을 중단해야 한다는 발언을 이어갔다. 냉전의 한가운데서 지속적으로 핵무기 반대를 외친 사하로프는 ‘인민의 반역자’, ‘정신박약아’, ‘선동꾼’ 등 갖은 비난을 들으며 핍박을 받고 가택연금까지 당했다.
그러나 사하로프와 오펜하이머의 노력은 헛되지 않았다. 냉전의 시대 평화를 외치는 과학자들의 목소리에 조금씩 핵무기에 대한 위험성이 알려지기 시작했고, 이는 1963년 미국과 소련, 영국이 지하를 제외한 대기권, 우주공간, 수중 등에서 핵무기 실험을 금지하는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PTBT)’을 체결하는 데 이르렀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등 전쟁의 비참함이 가득한 시대에 ‘평화’를 외쳐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