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 출신 주성하 동아일보 기자가 지난 16일 북한이 개성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남긴 글이다.
주 기자는 “오늘 화끈한 쇼를 보니 한국 잠복조들에도 임무가 하달됐을 듯한 느낌”이라며 “암살이 벌어져도 이 정부에선 아무것도 못할 것 같고 죽는 사람만 불쌍할 듯”이라고 전했다. 이어 지난 14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담화 중 “배신자들과 쓰레기들이 저지른 죗값을 깨깨 받아내야 한다는 판단과 그에 따라 세운 보복 계획들은 대적 부문 사업의 일환이 아니라 우리 내부의 국론으로 확고히 굳어졌다”는 부분을 되새겼다.
|
북한은 예고한 대로 신속하게 연락사무소를 폭파했고, 이후 대북전단에 대한 공방이 펼쳐졌다.
“북한도 탈북자 탓, 남쪽도 탈북자 탓”
주 기자는 북한이 연락사무소를 폭파하기 하루 전 “북한도 탈북자 탓, 남쪽도 탈북자 탓”이라고 지적했다.
김 제1부부장의 담화 이후 북한의 잇단 위협을 촉발시킨 원인 가운데 하나로 대북전단이 지목되고, 정부가 엄정 대응 기조를 밝힌 데 대한 비판이다.
그는 “삐라 사건 없었으면 북한과 관계가 여전히 좋아졌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어차피 북한은 올 상반기 전쟁 위기까지 끌고 간다는 시나리오대로 가는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여기서 또 한 번 제일 힘없는 탈북자들이 남과 북에서 희생양이 되는 것”이라며 “우리 정부가 지난 1년 반 사이 뭘 했는지 돌아보라. 핫라인은 자랑 한 번 하느라 깔았나. 그렇게 삐라가 나쁜 거면 미리 막던가”라고 덧붙였다.
|
박 씨는 “지역사회 남남갈등을 조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문재앙(문재인 대통령과 재앙의 합성어) 정부 아닌가?”라며 “마치 우리가 남북 관계를 악화시키는 주범인 양”이라고 했다.
큰샘은 북한이 연락사무소를 폭파한 지 사흘째인 지난 18일에도 북한에 보낼 쌀을 포장했다. 이 단체가 쌀을 보낸 건 지난 2016년부터 이번이 108번째다. 지난 8일에도 쌀 페트병을 인천 석모도 바다에 띄워 보내려고 했지만 주민과 경찰이 제지로 무산됐다.
단체는 오는 21일 행사 강행 의사를 밝혀왔으나 19일 잠정 보류를 결정했다.
박 씨는 홈페이지를 통해 “김정은과 김여정의 공갈, 협박으로 대한민국 국민들께서 불안해함으로 그를 감수해 이번 북한 인민들에게 쌀 보내기 행사를 잠정 보류하기로 한다”며 “북한 독재 정권의 피해자인 쌀과 희망을 기다리는 북한 주민들에게 미안하고 죄송하다”고 전했다.
그러나 큰샘 외에도 자유북한운동연합 등 탈북민 단체가 6.25 전쟁 70주년을 맞는 오는 25일 대북전단 100만 장을 또 날려 보내겠다고 밝히는 등 대북행사 아직 철회하지 않은 상황이다.
‘삐라 폭탄’, 던지는 자유 vs 막아야 하는 이유
이 가운데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대북전단이 경기도 의정부의 한 가정집에 떨어져 지붕이 파손되는 일이 벌어졌다며, 대북전단을 ‘살인 부메랑’이라 칭했다.
이 지사는 대북전단 낙하로 인해 자칫 인명피해 가능성도 있다며 해당 전단을 살포한 단체에 강경한 대응을 선언했다.
여기에 하태경 미래통합당 의원이 ‘탈북자 때려잡기’라고 비판하면서 정치권 공방으로 번졌다.
|
특히 전단 살포를 국가 차원에서 제재할 수 있는지를 두고 논란이 일었다.
한국갤럽이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성인 1001명을 상대로 진행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57%가 민간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를 정부가 막아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했고, 막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은 29%로 조사됐다.
통일부는 전단 살포 행위가 종전과 달리 남북교류협력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새로운 유권해석을 내놓으면서 탈북민 단체 2곳에 대해 지난 11일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하지만 5년 전 국가인권위원회는 우리 헌법이 보장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전단 살포를 단속해선 안 된다는 결정을 내렸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는 대북전단 살포로 접경지역 주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된다면 표현의 자유에 해당하더라도 이를 제지할 수 있다는 2016년 대법원 판단을 언급했다. 또 코로나19 확산 사태 속 전단을 통해 날아간 물품에 대해 방역이 이뤄지지 않았을 수도 있는 북측의 우려가 여러 경로를 통해 전달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가운데 노동신문을 비롯한 북한 매체들도 ‘삐라 폭탄’을 언급, 대규모 대남전단 살포를 예고했다.
북한이 최근 군사적 긴장을 끌어올리며 ‘눈에는 눈, 이에는 이’를 공언하면서 일상 속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