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까지만 해도 개인 투자자들에게 미국 증시는 고수익률을 보장했고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강남아파트와 나스닥은 죽지 않는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올 정도였다. 특히 테슬라는 지난해 10월26일 ‘천슬라(테슬라 주가 1000달러를 뜻하는 신조어)’를 달성하면서 국내 ‘서학개미(해외주식에 투자하는 개인)’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당시 테슬라의 주가 상승률은 전년말 대비 45% 수준이었다. 같은 기간 나스닥 지수 상승률도 18%에 달했다. 반면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는 불과 5%대 상승에 그쳤고, 삼성전자는 13%대 하락세였다. 너도나도 미국 증시에 뛰어들게 된 배경이다.
|
그런데 올해 들어 미국 3대 지수는 지난해 말 대비 급락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본격적인 긴축 행보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악재가 맞물리면서다. 3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지난 2일(현지시간) 기준 나스닥 지수는 올해 들어 19.87% 하락했다. 같은 기간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 지수는 13.30%, 다우존스 지수는 9.01% 각각 떨어졌다.
미국 주식의 하락세는 최근 더욱 두드러진 모습이다. 지난 29일 나스닥은 무려 4%대 급락하며 투자심리를 얼어붙게 했다. 아마존의 실적 실망감과 빅테크주 중심의 하락이 지수 하방을 이끌었다. 아마존 실적이 7년 만에 처음으로 분기 손실을 기록하며 14%대 폭락했다. 인텔이 반도체 부족 사태가 2024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대형 기술주인 애플, 알파벳, 엔비디아, 인텔 등이 줄줄이 하락 마감했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예상치를 밑도는 미국 기업들의 실적과 우려스러운 경제 지표 등 공포 심리가 작용하며 중국 봉쇄령의 장기화 등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시장 변동성 확대가 지속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웅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직 저점이라고 말하기는 조심스러운 구간”이라며 “빠질 만큼 빠졌지만, 상승 전환이 되려면 매크로 변수가 해소 해야 하는데 아직 해소된 게 없기에 저점이라고 말하긴 섣부르다”라고 말했다.
|
문제는 최근 대형 기술주 중심의 하락이 해외 주식 개인투자자, 일명 서학개미의 포트폴리오에 치명적이라는 점이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미국 주식 보관금액 규모 1위는 테슬라로 나타났다. 무려 137억2846만달러, 현재 환율 기준으로 17조4021억원에 달하는 수준이다. 2위인 애플(49억4593만달러)과는 두 배 이상 차이가 났다. △엔비디아(27억7475만달러) △마이크로소프트(22억8407만달러) △알파벳(22억2334만달러) △프로셰어즈울트라프로QQQ ETF(16억4484만달러) △아마존(13억5642만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이 중 프로셰어즈울트라프로는 나스닥 100지수의 3배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다. 추종하는 지수가 1% 상승하면 3%의 이익을 거둘 수 있지만, 반대로 1% 내리면 3%의 손실을 보는 구조의 상품이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관금액이 최대치라는 점에서 충분히 물렸다고 볼 수도 있는 상황”이라면서 “다만 그만큼 미국 증시에 대한 투자자 신뢰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고 짚었다.
그렇다면 향후 투자 전략은 어떻게 세워야 할까. 이웅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기관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전략이 유효하지만, 개인투자자라면 빅테크를 집중 매수할 수밖에 없는 한계도 확실히 있다”며 “각자의 상황에 맞게 추가 저점 매수 혹은 현금 보유가 적절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빅테크 기업들의 성장세도 코로나19 회복기 때 30%씩 나왔지만, 지금은 정상화하면서 10%대를 기록하고 있다”면서 “향후 성장성을 지속해나갈 기업을 선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한 달간 서학개미가 순매수한 주식으로는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추종하는 SOXL(DIREXION DAILY SEMICONDUCTORS Bull 3x SHS)가 6억5730만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프로셰어즈울트라프로QQQ ETF가 4억1592만달러로 2위를, 엔비디아 3억4711만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