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보 노디스크,‘삭센다’로 4조 비만치료 시장 평정한 비결[비만시장 쟁탈전]①

'제니칼콘트라브·큐시미아' 제친 노보 노디스크 '삭센다'
세계 시장 과반 이상, 국내 시장 45% 점유율 달성...대항마는 '위고비·마운자로'
"출시국 확대 이슈로 2~3년은 더 삭센다 세상일 것"
  • 등록 2023-09-18 오전 8:53:28

    수정 2023-09-20 오후 1:23:52

이 기사는 2023년9월13일 8시53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페이지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2023년09월13일 08시53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식욕 억제를 유도하는 비만치료제 시장이 매년 두 자릿수 이상 급성장하고 있다. 이시장을 장악한 덴마크 노보 노디스크를 쫓기 위해 각국 기업들이 잰걸음을 내고 있다. 이데일리는 비만 치료제 시장을 선점한 약물부터 주요 후발 신약 등을 전체적으로 조명하고자 총 3편의 ‘비만 시장 쟁탈전’ 기획기사를 마련했다. 1편에서는 현재 비만 시장을 주도하는 약물과 효능을 조명한다. 이어지는 2편에서는 비만 시장의 주요기업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릴리의 미래 시장 장악 전략을 집중 조명한다. 3편에서는 미국 암젠부터 한미약품(128940) 등 후발주자들의 비만 치료제 개발 현황과 성공 전망을 다룬다[편집자 주].

(제공=게티이미지)


[이데일리 김진호 기자] 시장 조사업체 ‘아이큐비아’는 지난 2월 향후 5년간 전체 의약품 시장에서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일 분야로 항암제와 함께 비만치료제를 지목했다. 모든 의약품 중 항암제 시장은 매년 13~16%, 비만 시장은 10~13%씩 성장할 것이란 분석을 내놓은 것이다. 이들 의약품 시장만이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세를 가져갈 것이란 얘기다.

‘이벨류에이트파마’에 따르면 비만치료제 시장 규모가 지난해 28억 달러(한화 약 4조원)에서 2028년 167억 달러(약 23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다른 시장조사업체 ‘글로벌데이터’는 2021년 기준 24억 달러에서 2031년 371억 달러로 고성장이 예상된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시장조사업체마다 비만치료제 시장 규모에 차이를 보이지만, 그 성장성과 파급력에는 전적으로 의견을 함께하는 모양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비만 치료제 4총사는?

미국과 한국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널리쓰이는 비만치료제는 크게 4종이다. 스위스 로슈의 ‘제니칼’(성분명 오를리스타트·미국 제품명 알리), 미국 알보젠의 ‘큐시미아’(성분명 펜터민 및 토피라메이트), 미국 오렉시젠 테라퓨틱스의 ‘콘트라브’(성분명 날트렉손 및 뷰프로피온·유럽 제품명 미심바), 노보 노디스크의 ‘삭센다’(성분명 리라글루타이드) 등이다.

이중 제니칼은 사실상 비만 치료제 시장을 연 약물로 평가된다. 이 약물은 미국 시장에서 1999년부터 처방되기 시작했다. 2007년부터 미국에서 처방없이도 약국에서 구매가능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이 됐다. 제니칼은 1일 최대 3회까지 18세 이상 성인에서 저칼로리 식이요법과 병행하는 용도로 판매되고 있다.

큐시미아는 미국 기준 2012년 성인 비만치료제로 승인됐다. 큐시미아는 단기 식욕억제제인 펜터민과 신경치료제인 토피라메이트의 복합제다. 한국도 큐시미아를 2019년 말에 도입했으며, 종근당(185750)이 그 유통을 맡고 있다. 큐시미아는 심혈관 질환이나 임신을 원하는 여성 등에게는 부작용 발생 위험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유럽의약품청(EMA)은 아직도 이 약물을 승인하지 않고 있다.

도파민이나 노르에피네프린 등 신경전달 물질을 조절하는 콘트라브는 미국 기준 2014년에 승인됐다. 국내에서는 광동제약(009290)이 2016년에 도입해 유통하고 있다.

삭센다는 주요 비만치료제 중 가장 늦은 2017년에 미국에서 1일 1회 주사형 성인 비만 치료제로 승인됐다. 2020년 소아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적응증 확대에 성공했다. 삭센다는 앞서 언급한 비만치료제와 전혀 다른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GLP)-1 억제제 계열의 최초 약물이었다.

임상에서 확인된 체중감소 효능을 보면 삭센다가 10~15%로 가장 높았고, 큐시미아(9.3%) 콘트레브(6.3%), 제니칼(5%)이 뒤를 따랐다. 이런 결과로 인해 여러 비만 치료제 중 시장을 점령한 것은 결국 삭센다였다.

주요 비만치료제 5종 미국 승인현황(그래픽=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시장 석권한 ‘삭센다’ 넘볼 신약은? ‘위고비·마운자로’

노보 노디스크에 따르면 삭센다의 2022년 매출은 전년보다 52% 오른 107억 크로네(한화 약 2조원)을 기록했다. 각종 시장조사업체에서 지난해 비만 치료제 시장 규모를 약 28억~30억 달러(3조5000억~4조원) 수준으로 추정하는 것을 고려하면, 삭센다가 시장의 과반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에서 삭센다는 올해 상반기 기준 396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967억원)에서 45%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국내 2위 비만치료제인 큐시미아의 점유율(15~17%)은 삭센다에게 크게 뒤져 있는 상황이다.

삭센다를 잠재울 대항마로는 노보 노디스크가 후속작으로 내놓은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와 미국 일라이릴리가 개발한 ‘마운자로’(성분명 티르제파타이드) 등 GLP-1 계열의 약물 2종이 꼽힌다.

위고비는 미국 기준 2021년 주1회 간격으로 주사하는 성인 대상 비만 치료제로 2021년 승인됐다. 마운자로의 경우 지난해 미국에서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승인된 뒤 현재 비만 적응증 확대를 위한 허가 신청을 완료한 상태다. 각 사가 밝힌 위고비와 마운자로의 임상에서 나온 평균 체중감소 효능은 순서대로 15%와 약 22%로 이전 약물을 크게 상회한다. 이 같은 효능과 편의성에 힘입어 위고비는 시장성을 빠르게 확대하면서 전체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에 따르면 위고비는 2022년 1분기 매출이 1억9800만 달러(약 2500억원)로 분기별로 매출이 수십%씩 상승하고 있다.

또다른 비만 치료제 유통업계 관계자는 “아직 출시국과 적응증 면에서 범위가 넓은 삭센다가 2~3년간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며 “효능 면에서 월등한 GLP-1 계열 위고비나 마운자로가 세계 시장에서 영역을 확대하기 전에 후발물질을 개발해 이들을 따라잡으려는 시도가 활발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필드 위 여신
  • GD시선강탈
  • 노병, 돌아오다
  • '완벽 몸매'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