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타머는 항체처럼 표적특이성을 지니면서도, 항체의 단점을 보완해 시장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국내 상장사 가운데는 압타머사이언스(291650) 압타바이오(293780), 비상장사에는 바이오이즈 등이 압타머 기술을 갖춘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
2026년까지 매년 연평균 17.1%씩 성장
27일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은 지난해 압타머 시장 규모가 1억5100만달러(약 1907억원)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는 2026년까지 약 3억4200만달러(약 4300만달러)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평균 17.1%씩 성장한다는 얘기다.
래리 골드(Larry Gold) 미국 콜로라도 대학 박사팀이 1990년 연구에서 압타머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지난 2004년 바슈롬(Bausch-Lomb)은 최초로 RNA 압타머를 기반 황반변성 치료제 ‘마쿠젠’을 개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승인까지 받았다. 기술이 소개되고 나서 통상 30~40년이 걸리는 신약 등장이 압타머는 15년 안팎에 나왔으니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다.
마켓앤마켓은 보고서에서 “항체는 소분자를 표적으로 하는 데 특정 제한이 있지만 압타머는 소분자를 표적으로 하는 데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새로운 치료제나 진단키트 개발에 압타머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것이다.
압타머사이언스, 올해 하반기 폐암 조기 진단키트 매출 반영 기대
2005년 1호 신약이 나온 이후 ‘2호’가 아직 등장하지 않아 시장의 의구심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워낙 1호가 이례적으로 빨리 개발되기도 했지만, 노바티스 등이 압타머 기술을 이용해 임상에 나섰지만 실패하면서 투자심리가 얼어붙은 것도 한몫한다.
압타머의 원천 기술 특허는 2010년부터 만료가 되기 시작해 2016년에서야 모두 만료됐다. 그 이후 압타머에 대한 연구 건수가 급증했다. 원천기술 특허가 만료돼 개발 모멘텀이 확보가 된지 아직 얼마되지 않은 것이다. 압타머의 절대적인 시장 규모가 크지 않은 것도 아직 연구용 임상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
압타머사이언스는 TfR(트랜스페린 수용체)에 결합하는 압타머를 발굴해 BBB셔틀 압타머와 표적 특이성에 기반해 화학항암제 ‘젬스타빈’을 압타머와 결합한 약물 접합 항암제 ‘AST-201’를 주요 파이프라인으로 개발하고 있다.
압타머 기술을 기반으로 세계 최초 압타머 기반 폐암 조기진단키트를 개발했다. 하지만 실제 매출로 이어지지는 못한 것이 아쉬운 지점이었다.
다만 올해 하반기부터는 매출에 반영 될 것으로 보인다. 한동일 압타머사이언스 대표는 “식약처 승인까지 받았지만 매출로 연결되는 것은 지연돼왔다”며 “다만 올해 하반기부터 신의료 기술 유예제도를 통해 매출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압타바이오는 약물 발굴 플랫폼 압타머의 특정 부위에 항암제를 연결하는 ‘Apta-DC ’(압타머-약물융합체) 플랫폼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이 플랫폼 기술로 약물 후보물질을 발굴해 난치성 항암제와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다.